미생 5 - 아직 살아 있지 못한 자 : 요석 미생 5
윤태호 글.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13년 2월
평점 :
절판


박과장의 사고로 원 인터내셔날은 근무 윤리에 대한 교육과 법규 준수에 대한 계약으로 시끄럽다. 영업 3팀에서 회사의 환부를 도려낸 일이었지만 상무와 부장이 회사를 떠나는 바람에 동료를 배신한 내부 고발자라는 낙인 찍혀 따가운 눈총을 받는다.

물론 회사의 취지와 어긋한 행동을 한 사람에게 경고를 할 수 있지만 영업 팀에서 이런 일까지 할 수 있다니 대단한 활약이다.

물론 오팀장이 진급 때문에 한 일은 아니지만 이번 건으로 오과장은 차장 2년 차로 진급하고 천과장이 영업 3팀에 합류한다.

천과장은 나름 카리스마를 가진 인물 같은데 김대리는 노멀한 사람이라고 하고 오팀장은 딴 생각 하지 말고 일에만 집중하라고 충고 한다. 오팀장 캐릭터는 거의 신에 가까운 것 같다.  회사 동료들이나 업체와 술을 마시고 들어 왔으면서 집에 들어와 술을 한잔 씩 한다는 걸로 봐서 만만치 많은 캐릭터임에 틀림없다. 회사와 연관이 있으면 업무 이므로 맘 편하게 내 맘대로 술 한잔 하고자 하는 마음인 것 같다.

직장인 최고의 낙은 무엇일까? 진급과 봉급 인상일 것이다. 사실 여기에 목숨 걸면 사람이 더티해 진다. 하지만 관심 없다고 하는 것도 모순이다. 적당하게 회사와 가정에 조화를 이룰 정도로 조율하고 남에게 뒤질 정도만 되어도 좋을 듯 싶다.

우리는 익숙한 것을 좋아한다. 하지만 너무 익숙한 것만 찾다 보면 매너리즘에 빠진다. 그러면 새로운 수를 볼 수가 없다. 규칙과 사례에 얽매어 있기 때문이다.

실행하지 않고 안 된다고 말하는 것이 가장 큰 적이다. 안 될 때는 정확한 데이터에 입각하여야 한다. 상대방을 설득 할 수 있는 신뢰의 자료로 설득하면 된다.

5권에서는 신입사원 장그래가 장고에 빠진 영업 3팀에게 박과장이 사고친 요르단 사업을 다시 진행하는 것이 어떠냐고 제시한다. 물론 매너리즘에 빠진 3팀은 발끈 하지만 타고난 승부사 오팀장은 그 사업의 가치를 찾아낸다.

개인적으로 오팀장 같은 상사와 안영이 같은 뛰어난 업무 능력을 가진 백업이 있다면 시너지가 대단할 것 같다. 대 기업에서 중고차나 렌트카 까지 사업 영역을 넓힌다는 것은 막장인 것 같지만 ....... 우리나라 현실도 마찬가지다.

전쟁의 승패가 판가름 나는 것은 그 나라에 보병 입성 여부다. 비행기로 융단폭격을 했더라도 보병이 들어 가지 않았으면 그 전쟁을 승리했다고 보지 않는다. 회사에서도 마찬가지다 영업에서 계약이 이루어 지지 않으면 생산을 비롯한 다른 부서도 성과를 내지 못한다. 그렇다고 영업만 최고라는 것은 아니고, 다른 부서와 조화로움이 있어야 회사는 시너지를 낼 수 있다.

돌격대 역할을 하는 영업부에서 치성을 최고의 덕으로 삼는다. 하지만 수성이 더 중요 하다는 사실도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치성은 하나를 얻는 것이지만 수성의 실패는 두 개를 잃는 것이다.

무슨 일이든 본인의 일이라고 생각하면 진도가 있는데 타인이 시켜서 하는 일은 하기도 싫고 집중력도 떨어진다. 계약직 이긴 하지만 장그래 같은 사람은 일을 주도적으로 하는 장점에 바둑으로 인한  직관적 사고가 혁신이라는 것에 도움이 되는 듯 하다. 이렇게 성과도 올리고 열심히 하지만 그는 정규직이 될 수 없단다. ? 고졸 출신이라 .......

일을 하는데 학벌은 도구는 될 수 있지만 목적이 되어선 안될 것 같은데 윈 인터내셔날의 모집요강이 모순으로 다가 왔다.

5권에서의 촌철살인은 '정신을 맑게 해라. 취해 있어선 기회가 와도 못 잡는다. 일이 잘될 때도 취해 있는 건 위험하다. 일이 안 풀릴 때 취해 있는 건 더 위험하다.' 오팀장이 김선배에게 한 얘기다.

이에 김선배는 오팀장에게 ' 회사가 전쟁터라면 밖은 지옥이다.'

무림에는 고수들이 많듯 어떻게 샐러리맨들의 속마음 쏙쏙 잘도 뽑아 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