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I 행동의 심리학 - 말보다 정직한 7가지 몸의 단서
조 내버로 & 마빈 칼린스 지음, 박정길 옮김 / 리더스북 / 201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우리나라 속담이 있듯이 사람의 속마음을 알아내기란 보통 일이 아니다. 하지만 어렵다고 포기하면 그러저러한 사람으로 남고 이를 극복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성공의 길을 걷게 된다.

사람의 심리를 안다는 것은 시험 볼 때 답을 알고 시험을 치르는 것과 같다. 그만큼 유리한 고지를 선점했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개인적으로 사람의 심리를 알기 위해 수 십 권의 책을 읽었지만 사람의 심리에 대해서는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심리학은 다른 학문에 비해 늦게 탄생되었지만 근래에 가장 각광받는 학문이 아닌가 싶다.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는 인간의 행동과 정신이 주축을 이루기 때문에 생활 속 곳곳에 심리학이 깊게 자리잡고 있다 

이 책의 저자는 FBI 대적첩보 특별 수사관으로 활동한 조 내버로가 25년간 경험을 바탕으로 쓰여진 책으로 크게는 프로 파일러부터 작게는 일반인들까지 인간관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이 나열되어 있다.

동양인과 서양인의 생김새와 관습, 환경이 다른데 똑 같이 적용할 수 있을까에 대한 의문은 있지만 100% 신뢰여부를 떠나서 관계 개선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좋을 것 같아 의심 없이 읽었다.

사람들은 자신의 잘못을 솔직하게 털어 놓는 정직한 사람도 더러 있지만 그 잘못에 대해 큰 벌이 주어 진다면 대부분 숨기려고 할 것 있다. 이 때 태연하게 거짓말을 하면 걸리지 않고 넘어 갈 수도 있지만 행동은 말과 다르게 나오기 때문에 잘 관찰하면 거짓을 잡아낼 수 있다는 것이 저자의 설명이다. 즉 우리가 소통하는 언어는 얼마든지 꾸밀 수 있지만 행동은 절대 꾸밀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타인의 행동을 가지고 판단할 수 있을 정도가 되기 위해서는 엄청난 관찰력과 시간이 필요 할 것이다.

책에서 소개한 사람들의 표정에서 나타난 심리 상태를 발췌해보았다.

1. 스트레스를 받지 않을 때는 눈은 이완되어 있고 입술은 자연스럽게 펴져 있다.

2.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는 눈썹을 찌푸리거나 이마에 주름이 진다.

3. 어깨를 귀쪽으로 올리는 것은 자존심이 상하거나 자신감을 잃었을 때의 행동이다.

4. 의견이 일치하지 않거나 상대방이 불편하면 상대방과 거리를 둔다.

5. 눈을 가리는 것은 놀람, 불신, 의견차이를 강력하게 보여주는 도망 반응 중 하나다.

6. 목걸이를 만지거나 목을 가리는 행동은 불안감, 불편한 감정, 두려움, 걱정을 완화시켜주는 행동이다.

7. 이마를 문지르는 것은 뭔가와 씨름을 하고 있던지 아님 불편한 심사를 무시하고자 함이다.

8. 얼굴에 손을 대는 것은 초조하거나 화가 났거나 걱정될 때 진정시키는 방법이다   

9. 볼을 불룩하게 하는 것은 스트레스를 방출하고 지정시키는 방법이다.

10. 남성은 괴로움을 완화시키기 위해 목을 마사지 하거나 쓰다듬는다. 목에 손을 대거나 마사지하는 것은 강력하고 보편적인 스트레스 제거 법이다.

11. 남성은 대개 여성이 불편함이나 불안감을 다루는 것보다 더 거칠게 목을 가리거나 넥타이를 바로 잡는다. 아주 잠깐 몸에 손을 대는 것만으로도 불안감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12. 목 부분을 통풍시키는 것도 스트레스와 불편함을 완화 시킨다.

13. 스트레스를 받거나 초초하면 지정시키기 위해 무릎 위에 손바닥을 문지르는 경향이 있다.

14. 실눈을 뜨고 이마를 주름지게 하면서 얼굴을 찡그리는 것은 고통과 불편함의 표시다.

15. 머리 기울기는 우호적이고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다는 뜻이다.

16. 수축된 동공은 불쾌, 놀람, 위협 등 부정적인 상황에서 나타나는 비언어 행동이다.

17. 실눈을 뜨는 것은 화가 났거나 좋아하지 않는 소리를 들었을 때이다,

18. 손으로 눈을 가리는 것은 부정적인 정서나 불쾌감의 표시이다.

19. 만족스러울 때 우리 눈은 이완돼 있고 긴장감은 사라지고 눈썹은 아치모양을 이룬다.

20. 눈을 크게 뜨는 것은 흥분했을 때나 행복감으로 가득 찰 때 나타나는 행동이다.

21. 우리는 믿지 못하거나 납득할 수 없을 때 곁눈질을 한다.

22. 진짜 미소는 눈을 주지게 만들고 입 양쪽 가장자리가 눈 쪽으로 올라간다.

23. 가짜 미소는 입 양쪽 가장자리가 귀 쪽을 행해 움직이고 눈은 거의 변화가 없다.

24. 입술이 사라질 때는 스트레스나 불안 요소가 있다는 뜻이다.

25. 의견이 일치하지 않거나 가능성 있는 대안을 생각할 때 입술을 오므리거나 주름지게 한다.

26. 입술을 핥는 것은 지정시키는 행동이다.

27. 혀 내밀기는 해서는 안 될 일을 하다가 들켰거나 긴장이 될 때 나타난다.

28. 이마를 찌푸리는 것은 불편하거나 걱정이 있다는 표현이다.

29. 싫어하는 감정이 드러날 때 콧잔등에 주름이 진다.

30. 자신감이 부족하면 코는 내려오고 턱은 안으로 들어가는 반면 긍정적일 때 턱은 밖으로 나오고 코는 높인다.

31. 등 뒤에 팔을 두는 태도는 왕의 자세로 가까이 다가오지 말라는 의미이다.

32. 양손을 허리에 대는 것은 강력한 영역 표현으로 지배를 확고히 하거나 논란거리가 있다는 것을 알리는 것이다.

33. 손가락을 벌려 테이블 위해 손가락 끝을 올려놓은 것은 확신과 권위의 의미심장한 영역 표현이다.

34. 팔을 펴서 다른 의자 위에 걸치는 것은 확신에 차 있고 편안함을 느낀다는 의미이다.

35. 손가락 끝을 서로 닿게 해서 첨탑모양을 만드는 것은 강력한 자신감의 표현이다.

36. 주머니 바깥으로 내 놓은 엄지는 높은 자신감의 표현이다.

37. 주머니 속에 들어간 엄지는 낮은 지위와 낮은 자신감을 나타낸다.

38. 발가락이 위쪽을 향하고 있으면 긍정적인 생각을 하고 있다.

39. 편안함을 느낄 때 다라는 X자 모양이 된다.

40. 발을 갑자기 아래위로 차기 시작하는 것은 불편하다는 표시이다.

41. 팔짱을 끼는 것은 불편함을 나타낸다.

책에는 훨씬 많은 징후를 적었지만 개인적으로 필요한 것만 발췌하였다. 이런 사실들이 누구에게나 적용할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상대방이 이런 행동을 할 때 내 이야기에 호감이 있구나 아님 지루해 하는 구나 정도만 알 수 있더라도 관계에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