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사회인으로 산다 - 연대와 공존으로 나아가는 유쾌한 삶의 방식
데루오카 이츠코 지음, 조한소 옮김 / 궁리 / 2014년 3월
평점 :
절판
책의 제목이 '나는 사회인으로 산다' 인데, 사회인으로 살지 않는 사람도 있나? 사회인이란 말에 다른 의미가 있는 듯 하다. 보통 사회란 일정한
경계가 있는 곳에서 그 들만이 행하는 모든 것을 말하고 거기의 일원을 사회인이라 한다. 모두가 똑 같은
사회인 같지만 내면을 살펴 보면 국가마다 인종마다 종교마다 심지어는 동네 마다 다름을 알 수 있다. 먼저
사회인에 대해 정의를 하고 들어 가는 것이 좋을 듯 싶다.
사회인이란 이 사회에서 살아가는 모든 구성원이다. 학교를
졸업하고 직장 생활을 하는 사람만이 사회인이 아니라, 미 취업자는 물론이고 학생이나 노인까지가 범위이다. 즉, 인간은 사회인이다 라고 봐도 무방할 듯 하다.
그렇다면 저자는 왜 뻔한 명제를 가지고 독자들에게 접근 했을까? 사실 이것이 우리가 이 책을 읽어야 할 이유이다.
저자는 사회인이 될 수 없는 사람들, 가까운
주변에서 사회와 관계 맺기, 사회인에게 일한다는 것의 의미, 격차사회에
산다는 것, 사회인을 어떻게 길러낼까 이렇게 총 다섯 개의
chapter로 구성하였다.
먼저 사회인이 될 수 없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을 말하는 것일까?
모두에 사회인은 회사인이 아니라고 정의 하였기에 사회인이 될 수 없는 사람들만 골라내면
된다. 상호관계를 맺지 않고 일방적
관계만을 고집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타인에 대한 배려는 전혀 없고 오직 자신만을 위한 다는
점이다. 시민사회 구성원으로 자격이 없는 자들이라 하겠다.
가까운 주변에서 사회와 관계를 맺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먼저 사회와 관계를 맺어야 하는 이유는 개인화 사회의 불안 때문이다. 현재의
생활이 풍요롭더라도 평생 동안 안정적일 수는 없기 때문에 풍요로울 때 내가 도우면 도움이 필요할 때 상대가 나를 도와주기 때문이다. 사회와 관계를 맺는 방법은 불우한 이웃에게 내 힘을 보태주면 된다. 단순하게
선의로 하는 것도 좋지만 이 경우 피로감이 몰려 올 때 대처 방법이 미약하므로 사회적(NGO, NPO)으로
지원하는 편이 좋은 사회라 할 수 있다.
사회인에게 일한다는 것의 의미는? 공기 없이
사람이 살 수 없듯이 노동 없이 인간의 역사는 없고, 노동하는 인간 없이 사회는 구성되지 않는다. 즉, 인간과 노동은 불가불위의 관계인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노동시간이 OECD국가 중 최고라 문제이다. 인간은 더 잘 살기 위해 노동하는 것이지, 노동하기 위해서만 살아가는
것은 아니다. 같은 노동을 하더라도 한쪽은 부자로 한쪽은 빈자로 살아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은 개인의 무능 탓이 아니라 사회나 국가가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연봉 1억 원 이상이 근로자 중 41만 명이고
반대로 연봉 3천만 원 미만 자가 천만 명이 넘는다. 이런
부작용을 어떻게 극복해야 할지 사회인으로 걱정이다.
격차사회에 산다는 것은? 인간은 사회인으로
언어와 노동을 통해 사회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는다고 정의 하였는데 경영자와 노동자, 정규직과 비 정규직, 중소기업 근로자와 대기업 근로자, 중역과 근로자, 남과 여 등 노사관계와 노노관계에서 빈곡의 격차가 점점 커지고 있는 것이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런 문제점 투성이 속에서 정부는 여전히 대기업을 옹호하고, 대기업
위주의 경제 정책을 내 놓고 있다. 정부에서는 낙수효과를 들 먹이며 파이를 키우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분배가 늘어 난다고 혹세무민하고 있다. 이에 우리 사회인들은 힘을 합쳐 한 목소리를 내야 한다. 그런데 제로섬 게임에서 SUM을 차지한 쪽에서 저자가 소개한 일화
누이야기처럼 나만 아니면 된다는 식의 행태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사회인으로 가슴이
아프다.
사회인을 어떻게 길러낼까? 시민교육을 통해서
길러야 한다. 우리 공교육에서 실시하고 있는 획일적인 주입식 교육이 아니라 경험을 통한 산 교육이 도입이
시급하다. 이를 통해 지식을 얻은 다음 가짜 영웅 흉내 내는 자, 즉
사회인이 될 수 없는 자를 골라내야 한다.
우리는 사회와 분리하여 살 수 없으므로 사회 에서 사회인으로 살아가야 한다. 나만 행복한 사회가 아닌 우리 모두가 행복한 사회를 만들어 가야 하는 것이다.
저자는 일본의 원로 생활 경제 학자로 일본의 현재 사회 상황을 소개하며 걱정을 하였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저자가 지적한 것 보다 더 낮은 사회인데 염려된다.
이런 사회의 현상들을 종합해 보면 일본이나 우리나라에 국한된 것만은 아니며 지구촌 곳곳이
이 문제로 신음하고 있는 중이다.
지식인 이라면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을 실천하는 것이므로 솔선수범하는 실행력을 보여 줘야
할 때가 온 것 같다. 사회인들이여~ 지식인으로 합류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