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5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음, 박찬기 옮김 / 민음사 / 1999년 3월
평점 :
놓친 물고기가 더 커 보이듯 이루지 못한 사랑이 아름답고 더 애틋해 보인다. 많은 이들이 이 책을 사랑에 포커스를 맞춰 읽는데 각도를 좀 다르게 읽어 보았다. 소설이다 보니 허구가 명백하지만 재미 삼아 내 맘대로 사건사건에 의문을 품어 보았다.
첫째 과연 베르테르는 샤로테 부프를 진정으로 사랑한 것일까? 진정한 사랑은 아니었다고 본다. 사랑이 아니라 집착일 가능성이 농후하다. 경험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이 크듯이 이루지 못한 사랑이었기 때문에 샤로테에 대한 상상이 그를 더 미치게
했을 것이다. 만약 로테와 사랑이 이루어졌다면 행복이 지속되었을 것 같지는 않다. 베르테르에게 바람기가 느껴졌기 때문이다. 괴테 자신이 여러 사랑을
겪었기 때문에 그 부분이 반영되었을 것이다. 사랑이 이루어 졌어도 안나카레니나와 같은 비극적인 결말이
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둘째 베르테르는 책에서도 묘사 되었듯이 매우 감성적인 인물이었기 때문에 보통사람들과는
달리 스스로 자신을 옭아 맨 것이 아닌가 싶다. 의학적으로 문외한 이긴 하지만 느낌 상 베르테르는 일종의
정신병을 앓은 것이 아닌가 싶다. 가질 수 없는 것을 빼앗고 이룰 수 없다 하여 목숨을 끊는다면 세상이
몹시 혼란스러울 것 같다.
셋째 등장하는 대부분의 인물들 베르테르, 로테, 알베르트, 빌헬름 등은 소위 요즘 말로 자타가 공인하는 엘리트 계층이며
지식인에 가깝다. 그런데 남의 아내를 탐내고, 사랑 때문에
자살을 선택하는 모습은 인간의 정체성에 반하는 것이다. 물론 이 책이 실연 때문에 유명해 진 것이 아니라
사회 통념을 무시하더라도 인간의 감정에 따라 행동하라는 것 때문에 유명해진 것이다. 인간과 동물의 가장
큰 차이점은 이성의 유무인데 이를 무시하는 것은 왠지 사람이기를 거부하는 것과 같은 느낌이다.
넷째 로테의 애매한 태도가 감성적인 베르테르를 죽음으로 내 몰았다. 만약 로테의 마음 속에 베르테르가 있었다면 결혼 전에 결정을 했었어야 한다.
'알베르트는 훌륭한 사람으로 저와는 약혼한 사이나 다름 없는 분이에요' 42page 약혼한
사이도 아니고 약혼한 사이나 다름
없는 분이라면 법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었을 것이다. 베르테르가 마음에 들었더라도 결혼을 했으면 충분한
거리를 유지시켜 줬어야 했고 마음에 들지 않았어도 거리를 두었어야 했다. 친구 이상의 호감을 가진 남자를
친구로 삼는다는 것은 부담스러워 보인다. 이걸 보면 로테는 자신만 생각하는 이기적인 성격을 가진 것
같다.
다섯 괴테나 베르테르는 겉으로는 목가적이고 진보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내면은 그렇지 않은 것 같다. 일반인들이 주말농장을 하면 농사가
잘되든 그렇지 않든 즐겁다. 하지만 농부가 농장을 하면 농사가 잘 되어도 안되어도 걱정이다. 잘되면 농산물 값이 떨어질까 걱정, 안되면 수확량이 없어서 걱정이다. 그러나 괴테나 베르테르는 귀족과 비슷한 삶을 살았기 때문에 고된 노동이 생략된 들판만이 아름답게 보였을 뿐이다.
'약간 지위 높은 양반들은 서민들을 가까이 하면 무슨 손해라도 입는다고 생각하는지, 언제나 쌀쌀한 태도로 그들을 대한다' 17 page
'무엇보다도 내 성미에 거슬리는 것은 숙명적인 저 시민 관계이다. 나도 계급의 차별이 얼마나 필요하며 또 그것이 얼마만큼 나 자신에게 이익을 갖다 주는지를 다른 사람 못지 않게
잘 알고 있다.' 108 page
최상위 권력 계층은 아니지만 그 권력에 가까우면서 그들의 행태를 비난하고, 직장생활에서 상관을 무시하는 행위들을 보면 자기 주장이 너무 강한 인물 이었다.
여섯 베르테르는 타인이 자신을 좋아하는 것보다 자신이 타인을 좋아하는 사랑만을 사랑으로
보았다. '레오노레만은 정말 안됐어. 그러나 나의 책임은
아니지. 내가 그녀의 여동생이 지닌 독특한 매력에 이끌려 흐뭇해하고 즐거워하는 사이에 딱하게도 레오노레의
가슴속에 나의 대한 사랑의 불꽃이 타오른 것을 난들 어찌할 수 있었겠나?' 11 page
이 때 당시 사조가 계몽주의로 이성을 계몽하고, 인간으로
금기 시 하였던 종교에 대한 반발 등을 낭만적 행위로 보아 인간의 권리를
되 찾으려는 운동의 물꼬를 튼 작품이어서 인지 주인공을 보면 보통 사람과는 많이 다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역사를 다른 관점에서 보면 달라 보이 듯 다른 관점에서 꼬아 보니 나름대로 흥미롭다. 1771년도를 살펴보면 중국은 청나라 건륭36년이고, 일본은 메이와 8년, 조선은
영조 47년이었는데 독일은 그 당시 자유연애가 형성되고, 총기를
소유하고 있었다니 문화적 차이가 상당 했음을 알 수 있다. 책을 읽으면서 애틋한 감정을 느끼고 리뷰는
관점을 바꿔보니 여운이 오래 남는 것 같다.
줄거리를 간단하게 요약하면 주인공 베르테르는 어머니가 맡긴 일을 처리하기 위해 산간
마을에서 지내게 되었는데, 우연히 만난 로테에게 반해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그녀에게 약혼자가 있다는 말에 실망한다. 그리고 윤리적으로 고민 하는 것 같지만
개의치 않고 본능에 충실 한다. 그러나 약혼자 알베르트가 돌아오자 그와 친분관계를 맺고 로테를 가슴에
묻은 채 다른 곳으로 가지만 결국 다시 로테에게 돌아와 사랑을 찾으려 하지만 로테의 오피셜한 태도에 실의에 빠져 알베르트에게 권총을 빌려 자살을
한다는 내용이다.
애틋한 사랑 이야기 같기도 하고 제멋대로인 사랑이야기 같기도 하다. 생각보다 꽤 재미있고, 인간의 내면적인 글귀들이 가슴에 와 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