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물농장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
조지 오웰 지음, 도정일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고전의 경우 제목을 보면
읽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읽어 본 듯한 느낌을 받는다. 실제 읽었을 수도 있지만 제목, 지은이, 흐름 정도는 학습을 통해 알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이 책 또한 그렇다. 어려서 접했을 때는 그냥 재미 있는 우화 정도로
알고 있었는데 소련의 전체주의를 비판하였다는 사실에 깜짝 놀랐다. 이런 사실을 이제 알았다는 사실이
좀 창피하다.
조지오웰이란 작가는 영국
독립 노동당원으로 좌파에 해당하는 인물이다. 그런데 왜 소련을 비판하였을까? 이 부분이 조지오웰 이란 작가가 훌륭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맹목적으로
좌파라고 사회주의나 공사주의 또는 전체주의에 동조하는 것 보다 다수의 사람들을 이롭게 하는 것을 추구하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수 많은 정치인, 지도자, 공무원들이
있고, 각각의 사상을 부르짖고 있지만 결론은 국민의 행복으로 귀결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이다.
플라톤은 '대중은 우매하다' 라는 말을 했다.
개인대 개인으로 만났을 때 모두가 이성적이지만 대중으로 합류 했을 때는 이성적인 판단보다는 군중심리에 편승해 버리는 어리석음을 범하고
만다.
동물동장이 소련의 전체주의를
비판했다고 하는데 개인적인 생각으론 자본주의를 겨냥한 것이 아닌가 싶다. 나폴레옹이 스탈린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크게는 한 나라의 대통령, 또는 지도자, 작게는 회사 사장이나 상사로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대 대통령 중
잘했다고 칭찬받는 이는 단 한 사람도 없다. 물론 공과가 있겠지만 사람들은 과만 크게 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람의 자질 문제인지
아님 그 자리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 생각할 필요가 있다. 왜냐면 내가 그 자리에 올라가면 만인들을 이롭게
하는 정책을 펼칠 것 같은데 만인 보다는 나를 위한 정책을 펼치게 되니 말이다. 나 뿐 아니라, 당신이 그 자리에 올라도 마찬가지이고 철수, 근혜, 재인, 정은
................누가 올라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하다. 조지오웰의 작품을 많이
접해 보진 않았지만, 핵심을 잘 잡아내는 작가라고 생각한다. 핵심
보다는 급소라고 하는 것이 맞을 것 같다.
이야기는 전개는
수퇘지 메이저(마르크스, 레닌)의 설득으로
농장주 존스(러시아 황제 니콜라스 2세)를 몰아내고, 똑똑한 돼지(볼세비치) 중에서도 더 똑똑한 나폴레옹(스탈린)과 스노우볼(트로츠키) 2강
체제를 출범시켜 동물 공화국을 건설하기 위해 여러 활동들을 하는 중 풍차건설(소비에트 5개년 계획)을 계기로 권력투쟁이 시작되며 스노우볼이 나폴레옹에 의해
추출되고 동물농장 전체의 적이 된다. (물론 나폴레옹의 자작극이긴 하지만)
스노우볼이 추출되자 나폴레옹은
스퀼러(프라우다로 러시아 기관지)를 대변인으로 내세워 동물들을
세뇌하고, 9마리의 개(비밀경찰)을 이용하여 공포분위기를 조성하며 1인 독재체제에 돌입한다. 모두가 잘 살고 평등하기를 바랬던 마음은 온데간데 없고, 다른 동물들에게는
배급을 줄이고 노동력을 착취시키며 존스 시대보다 더 험난한 생활을 하게 하는 대신 자신은 존스 보다 더 사치스럽고 호화로운 생활을 하고, 사람처럼 행동을 한다.
심지어는 필킹턴(영국, 미국)과 우호관계를
맺으면서 거래(독소불가침 조약)는 프레드릭(독일, 히틀러)과 하였는데
이 일로 필킹턴과 교류는 단절이 되었다. 그러나 프레드릭과 거래에서 받은 5파운드짜리 지폐는 위조지폐였고 설상가상으로 동물들이 아침을 먹고 있을 때 프레드릭을 비롯한 15명의 남자들이 총을 가지고 침범하자 나폴레옹과 복서(프롤레타리아트)가 최선을 다해 막았으나 패배하여 목장 대부분이 점령되고 풍차까지 날려 버렸다.
동물들이 죽을 힘을 다해 인간들을 물리 쳤으나 암소와 양 세마리, 거위 2마리가 죽고 대부분의 동물들은 부상을 입었다. 상처 뿐인 승리를
자축하기 위해 나폴레옹은 일곱 발의 예포를 쏘고 풍차 훈장을 제정하여 스스로에게 수여하고 동물에게는 사과를 새에게는 옥수수를 개에게는 비스켓을
선물로 주는 무모함을 보였다. 갑자기 이명박 대통령이 퇴임을 앞두고 스스로에게 훈장을 수여한 생각이
나네.ㅋㅋㅋ
미니무스는 스탈린을 찬양하는
시를 쓴 시인 마아콥스키를, 핑크아이는 스탈린의 검사원을, 새끼
돼지들은 소련 공산당의 권력 세습을, 혁명돼지들은 스탈인에게 반기를 든 트로츠키파의 공산당원들을, 클로버는 어느 정도 교육을 받은 중산층이지만 무기력함을, 몰리는
러시아 혁명으로 축출된 부르주아 또는 러시아 백인/ 백군(황제의
군사)을, 벤자민은 지적이고 혁명에 반대하지만 어떠한 행동도
하지 않는 현실도피의 지식인과 소련내 유대인(혹자는 조지오웰 자신)을, 뮤리엘은 지식인을, 닭들은 집산주의에 따른 사유재산 금지와 재산
국유화에 저항하던 부농을, 모세는 러시아 정교회를, 양들은
우매한 민중을, 들쥐는 소련 북쪽의 원주민을, 고양이들은
러시아 혁명과 공산주의에 소극적으로 저항하던 민중들을, 카드게임은 테헤란 회담을, 스페이드 에이스는 냉전을, 돼지와 인간은 소련과 서구 제국주의를, 윔퍼는 소련 체제의 진실을 모른 체 소련을 찬양한 서구 지식인(장폴
사르트르, 버나드 쇼, 소련과 거래하는 중립국)을, 존슨 씨를 실의에 빠지게 한 큰 소송은 러일전쟁을, 동물들의 반란은 러시아 혁명을, 외양간 전투는 러시아 내전을, 풍차는 드네프르댐을, 메이저 영감의 유골전시는 레닌의 시체를 방부
처리해 붉은 광장에 안치한 것을, 네 다리는 좋고, 두 다리는
나쁘다는 레닌의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라는 구호를 상징한다.
짧지만 많은 것을 내포하고
있는 소설, 지식인 이라 함은 양심에 맞는 행동을 하는 것이다. 일상에서
많은 일이 발생하지만 용기의 부재로 불의에 눈을 감는 경우가 허다하다. 불의에 눈을 감는 것은 가해자를
방관하는 것으로 가해자와 다를 바 전혀 없다. 조지 오웰이 독자에게 전달하는 메시지는 민중들은 좀더
영리해 지고, 지식인들은 행동하는 양심을 가지라고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