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친절한 조선사 - 역사의 새로운 재미를 열어주는 조선의 재구성
최형국 지음 / 미루나무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제목과 책 표지를 보니 조선시대의 우화가 아닐까 생각했는데 전혀 예상이 빗나간 스펀지였다. 평소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궁금했던 것들을 쏙쏙 뽑아서 호기심을 해소 시켜 주었다.
조선시대에는 양반들이 만들어 놓은 이데올로기로 많이 폐쇠적이고 비 과학적으로 살았을 줄 알았는데 많은 부분이 지금과 같이 또는 지금보다 훨씬 뛰어났다는 사실이 매우 흥미롭다.
조선시대를 살았던 사람들도 우유를 마시고 여름에 얼음을 먹었다는 사실과 코끼리를 귀향 보냈던 거나 정조가 골초였다는 사실은 좀 우습기도하고 신기 하기도 하다.
서두에 지금 보다 뛰어나다고 생각되는 것은 우리나라의 현재에도 존재 하지 않는 남편의 육가 휴직이 있었다는 대단히 놀라운 사실이 아닐 수 없다. 우리나라는 이제 추진하려고 하는 모양 이던데..ㅋㅋㅋ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간서치 이덕무가 담배피우는 아이들을 걱정하며 쓴 글도 실려 있다. 실리를 추구하며 선비정신을 잃지 않았던 몇 안되는 진정한 선비이다.
‘선비는 마음 밝히기를 거울같이 해야 하고 몸 규제하기를 먹줄같이 해야 한다. 거울은 닦지 않으면 먼지가 끼기 쉽고 먹줄이 똑바르지 않으면 나무가 굽기 쉽듯이 마음을 밝히지 않으면 쓸데없는 생각이 저절로 가득 차게되고, 몸을 규제하지 않으면 게으름이 저절로 생겨난다.”는 말이 생각 난다.
만원짜리 지폐에 나오고 운동하고는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는 세종이 격방에 빠져 밤새도록 놀아다는 것이 상상이 안간다. 격방이 요즘의 골프와 비슷하다는 걸 보니 빠질만 하기도 하다.
흑산도 홍어장수 문순득이란 사람이 필린핀어를 했다는 사실도 놀랍고 포르투갈 흑인 용병이 전쟁에 참가했으나 큰 성과가 없었다는 내용등은 정말 처음 듣는 내용들 이다. 더 재미있는 이야기들도 많은데 작가에게 좀더 바램이 있다면 이 글에다 약간의 픽션을 가미 했더라면 좀더 다양한 독자층이 생기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물론 이 책만으로도 충분이 재미 있다.
작가가 지문으로 궁금증을 제시하고 실록을 근거로 사실을 제시하며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림을 넣고 마지막에는 그이야기와 연관된 사례를 두어 결론을 내렸다.
한번 읽기 시작하면 책을 내려놓기 싫을 정도로 다음 내용이 너무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