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답게 산다는 것
안대회 지음 / 푸른역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재미 있게  읽었던 책중 한권이다. 안대회 선생의 책은 조선의 프로페셔널이 먼저이고 그 다음책이 이 책이다. 선비답게 산다는 것은 무엇일까?     국어사전에 나오는 선비의 뜻이다.  

선비<명사>1. 예전에 학식은 있으나 벼슬하지 않는 사람을 이르던 말  2. 학문을 닦는 사람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 3. 학식이 있고 행동과 예절이 바르며 으리와 원칙을 지키고 관직과 재물을 탐내지 않는 고결한 인품을 지닌 사람을 이르는 말. 4. 품성이 얌전하기만 하고 현실에 어두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내가 생각하는 선비답게 사는 법은 끊임없이 지식을 탐구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지식이란 쉬운말로 공부이다. 공부를 취미로 하는 사람들그들이 선비인 것이다.

어쩌면 이 시대의 노동자계층이 가장 타도 해야할 대상이 아니었을까?       뜬금없이 노동자, 타도어의 없기도 하지만..다음 서평을 쓸 차례인 그래도 희망은 노동운동이 갑자기 생각나서 적어 본다.ㅋㅋㅋ 적어도 하종강 선생께서 보는 관점에서는..

이 책의 구성은 제1장 본인 인생의 내면을 볼수 있는 글 스스로 묘지명을 쓴 선비들의 이야기에서부터, 13년동안 하루도 거르지 않고 일기를 쓴 유만주 이야기등이 있고  2장 취미와 열정으로 벼슬대신 예술품 수집벽에 걸린 김광수와 장서가 이하곤이야기…..신분의 벽을 뛰어 넘는 문인들 이야기( 이봉환, 이명오, 이만용과 천민시인 홍세태)와 제3장 글과 영혼 본인에게 편지를 보내 자신을 위로했던 이규보이야기와 환상의 섬 나의 고향 임자도로 귀향간 조희룡의 이야기등이 있고 마지막 4장으론 공부와 서책에선 문제의 글 박지원이 경보에게 쓴 짧은 편지글왜 문제의 글이냐 하면 안대회 선생과 정민 선생이 같은 편지글을 읽고 서로 다르게 해석을 하고 있기 때문에..ㅋㅋ그리고 내가 좋아하는 다산선생의 공부방법등이 있다.

아마도 이 책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보면 부귀영화에는 큰 관심이 없고 오로지 자기 만족을 위해 무언가에 병적으로 얽메였던 아웃사이더들의 이야기인듯…. 어쩌면 아웃사이더들이었기에 미친듯이 한곳에 집중할수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지.. 이 시대에 진정한 선비는 존재 하는 가? 위의 사전적 의미가 진정한 선비라면 몇명이나 선비일지?

서평을 쓰다가 맨뒤 표지를 보니 우연챦게도 조. . 동의 서평이 적혀 있다. 서평은 그럴싸 하다..ㅋ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