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벌레들 조선을 만들다
강명관 지음 / 푸른역사 / 2007년 10월
평점 :
일시품절
이 책을 처음 구입하고 내가 놀랐던 것이 세가지가 있다.
첫째는 책의 두껍기에 놀랐고, 둘째는 책의 재미에 놀랐고, 셋째는 책의 내용에 놀랐다.
이 세가지 놀라움을 접하고 나니 그렇게 두꺼운 느꼈던 책을 2일에 독파 하는 기염을 보였다.
책의 내용이 나의 니즈와 맞았고 흥미로웠던 부분이 많아서 그랬을 것이다.
조선시대의 내놓으라는 학자들이 거론되고 그들의 지식과 사상에 따라 독서의 성향이 틀려 진다는 사실과 그 들의 이데올로기 즉 자신들만의 통치를 만들기 위해 특히 꼼수를 부린 것이
성리학을 중심으로 학문이 전개되고 주자학 이외의 학문은 철저히 외면되었던 부분 놀라웠다.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공부를 했을까 궁금 했는데, 무엇을 위해 그리고 어떤 장르, 어떤 교제를 통하여 ....이런 부분들을 상당부분 해소 시켜 주었다.
대부분의 사상이나 책들이 자신들만의 층을 형성하기 위해 나온 학문이었고 그 책의 대부분이중국에서 수입한 책 들이었다고 하니 조금은 실망 스럽기도 하다.
그러하니 아마도 중화사상의 산물이 뿌리 깊이 남아있었을 것이다.
지나치게 폐쇠적인 그 시대에 안하무인격으로 살았을 기득권층 인사들 앞에서 핏박 받았을 백성들의 노고가 눈에 선하다.
이 책에 나열되어 있는 조선시대의 쟁쟁한 학자들이 출연되는데 이 사람들이 내가 알고 있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긴 하지만 그 속내가 이러 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특히 이황과 이이는 우리나라 화폐에도 등장하는 인물로 대단한 평가를 받고 있는 인물들이다.
이 사람들 조차 특권층을 위한 신분의 우위를 강조하기 위해 양반의 감정은 상민의 감정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입장에서 천한 것들의 천한 감정은 기(물질적인 것)에 의해 이가 쫒아 가는 것이고, 고귀한 감정은 이에 의해 물질적인 것이 따라온다는 이기이원론을 주장 한 것이다.
철학 콘서트에 이부분이 잠깐 언급되는데 이황과 기대승의 논쟁에서 죽음을 눈앞에 두고
결국 기대승의 말이 맞다고 인정했다는 부분이 있다.
이황이란 사람은 공직자로 청백리의 표상이고, 서원을 건립하고 제자를 육성하고 사랑한 교육자 였고 , 문학 사상자로 충분한 역량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의 사항을 들어 이 책을 쓴 강명관 교수도 이황을 그리 높게 평가 하지 않았던 것 같다.
요즘에 이러한 사상을 강조 했다가는 아주 어려움에 처했을 텐데 현 시대의 화폐에 까지 등장하는 걸 보면 조선시대의 기득권층(자손, 제자, 사림파)들이 현재까지 득세하고 있다는 증거가 아닐까?
또한 성군으로 잘 알려진 정조가 자신의 통치를 위하여 신하들의 사상을 검사하여 이에 부합하는 자는 내 쳐졌다는 사실은 전혀 몰랐던 사실이다. 아마도 요즘 대통령 보다는 그 당시 왕권이 훨씬 강했을 텐데 그 권력을 유지 하기 위해 취했을 사건들을 보니 권력이란 것이 참으로 좋은 것 만은 아니다는 느낌이 든다. 언젠가 정치를 하는 사람에게 이런 말을 들은 적이 있다. " 정치는 마약과 같다." 권력도 그러할 것이다.
요즘 대통령 선거가 끝났는데 누가 잘할 것이다. 누가 못할 것이다. 그렇지만 그 자리에 올라 가기만 하면 잘 할 것 같던 사람도 크게 빛을 발하지 못하니 참으로 그 자리가 어렵기는 한 자리 인가 보다.
위에서도 잠깐 언급을 했지만 조선에 들어온 책들 대부분이 중국에서 들여온 것이라 하니
그 사상이 중화사상을 중심으로 이루어 졌을 것이고 중화 사상이외의 학문은 이적이라 하여 천시하고 배척했던 문화를 그대로 조선에서 여과없이 받아 들여 졌던것 같다.
우리가 알다 시피 중화사상이라 함은 자신들의 문화가 온 천하여 중심이면서 가장 발달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타자들은 오랑캐로 구분하고 세상의 질서를 유지 한다는 사상이 아닌가?
유가사상이 국가의 통치 철학으로 자리잡은 중국문화를 조선에서 여과없이 받아 들여 왕족과 양반들이 기득권으로 군림하여 왕화사상이 자리 잡았던 것이다.
조선후기에 실학이 출현하는데 조선시대의 성리학은 자신들만의 이익만 추구하고 실용
적이지 않는 유교를 비판하고 서양문물의 도입하여 실사구시, 이용후생등 실 생활에 도움을
주는 학문이 드디어 탄생을 한 것이다.
위의 기득권층의 반대와 탄압이 엄청 났을 것이다. 심지어는 왕까지 기득권 세력 이었으므로
실학파도 학파에 따라 조금씩 달리 하고 있다. 이익으로부터 비롯되어 정약용으로 이어지는 남인계열의 성호학파는 경전에 대한 재해석을 주자학 비판의 유력한 무기로 삼는 등 비교적 경학적 전통을 유지 하였으며, 반면에 북학파는 홍대용과 박지원으로부터 비롯되는데 그들은 이기론과 경학젹 전통으로 벗어나 자연과학, 문학적 소용을 새로운 학문 형성의 유력한 무기로 삼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학파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서양의 자연 과학 등 새로운 지식에 개방적이고 낡은 사고와 낙후한 사회현실에 비판적이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박지원은 이렇듯 봉건사회가 해체될 조짐을 들내 보이고, 지배계급 내부의 전재과 서학에 의한 새로운 사상적 충격이 어우러지던 시기에 활동한 인물이다.
드디어 중국의 영향에서 서양의 문물을 인식한 시기라 하겠다.
이책에 거론 되는 인물도 있고 없는 사람도 있다. 실학파의 계보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① 한백겸(1551∼1615), 류몽인(1559~1623) ,이수광(1563~1628), 허균(1568~1618)
② 유형원(1622~1673), 박세당(1629~1703), 김만중(1637~1692), 정제두(1649~1736)
이이명(1658~1722) 정상기(1678~1752) 이익(1681~1763 :이익을 대종(大宗)으로 하는 경세치
용파:토지제도 및 행정기구 기타 제도상의 개혁에 치중하는 학파), 신후담(1702~1761)
안정복(1712~1791), 신경준(1712~1781), 위백규(1712~98), 홍대용(1731~1791) ·이긍익
(1736~1806), 박지원(1737~1805 : 박지원을 중심으로 하는 이용후생파(利用厚生派):상공업
의 유통 및 생산 기구 일반 기술면의 혁신을 지표로 하는 학파), 이덕무(1741~93), 우하영
(1741~1812), 유득공(1749~?), 박제가(1750~?), 성해응(1760~1839), 정약용(1762~1836)
③ 김정희(1786~1856 : 김정희에 이르러 일가를 이루게 된 실사구시파(實事求是派):경서 및
금석(金石) 전고(典故)의 고증을 위주로 하는 학파), 이규경(1788~?), 김정호(?~1864), 최한
기 (1803~1879), 이제마(1836~1900)
참으로 유익하고 많은 부분을 생각하게 한 책이었다. 고전에서 답을 찾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했을 강명관 교수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