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저스티스맨 - 2017년 제13회 세계문학상 대상 수상작
도선우 지음 / 나무옆의자 / 2017년 6월
평점 :
이 책 작가에 대해서 책을 읽기전에 많은 이야기를 들었다.
아니 이미 여러차례 소설전에 만나보았던 작가였다.
그래서 객관성을 잃기 쉬운 면이 있어서 책을 읽으면서 작가에 대한 생각을 접고 읽어보려고 의도적으로 노력했고, 책을 모두 읽고 나서 느낌은 역시 "까칠하군"이었다.
10번의 총격과 이마를 관통하는 두발을 발사하는 삼팔구경 리볼버, 그리고 저스티스맨.
이런 구성을 갖는 저스티스맨을 읽고나서, 어떻게 세계문학상 대상을 받게 되었을까? 심사위원과 독자들을 끌어당겼을까 생각해 본다.
우선 작가의 글쏨씨에 한표를 주고 싶었다.
사건을 마치 기자가 쓰는 기사나 사건담당 보고서 같은 느낌을 주는 방식으로 툭툭 던져내는 느낌으로 소설을 쓰고 있었다.
사건의 발생 그리고, 저스티스맨의 기술이 더해지면서 사건 피살자가 어떤 인간임을 드러내고 그가 죽게된 이유를 유추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처음 발생한 오물충사건의 사건 전모를 밝히는 저스티스맨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자세에서 점점 그의 논리는 사건의 배후와 살인자의 생각처럼 느껴진다.
마치 형사앞에서 진술하는 살인자의 태도처럼 무덤덤하게 그는 죽을만했음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런 태도가 더욱 사건과 저스티스맨의 주장에 빠져들게 되고 누군가가 다음에 죽게 될지 예상하게 되는 마치 카페의 한 회원이 되어버리는 느낌이 든다.
이 소설을 몰입감은 사건의 큰 흐름에 있다고 본다.
정의가 바로 서지 않고 있는 우리나라 사회에서 힘=정의의 논리에 리볼러 총성을 울리고, 익명성이라는 인터넷의 어두운 면에서 미소지으며 상대를 괴롭히는 잔인함에 두발을 쏘고 있었다.
빠르게 발전하면서 눈감아가고 있고, 마치 피해자가 죄인처럼 되어가는 세상에서 이 소설은 더이상 남의 이야기가 아니게 된다.
법의 판단이 사람에 따라서 다르게 적용되고, 언론이나 인터넷 여론에 의해 휩쓸려가는 세상에 대한 총성이 때로는 통쾌하고 때로는 뜨끔하게 만들었다.
소설가도 살인자 자체보다는 피해자에 더 촛점이 맞춰져 있고, 여기에 무능한 검경을 더하면서 까칠하고 냉철하게 현대 사회를 비춰내고 있었다.
마지막 10번째 살인사건과 인칭은 작가의 노림수가 있다고 본다.
아무도 예상치 못한 권력화에 대한 경각심을 던져내고 있는 10번째 살인사건은 끝까지 우리사회에서 있어야할 자기반성의 끈을 놓지않고 팽팽하게 잡아당기고 있었다.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누군가는 다시 희생되고 있다는 점.
모든 권력은 항상 희생을 동반할수 밖에 없다는 이야기를 던져내고 있었다.
또한 소설에서의 인칭의 선택은 항상 "그"였다.
누구나 인터넷에서 하나의 글일뿐인 것처럼 남자, 여자, 나이, 직업에 상관없이 항상 "그"라고 칭하고 있었다.
이러한 선택은 개인적으로 누구나 같다, 누구나 같은 처지에 놓일수 있다, 누구나 같은 가해자일수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대표하는 단어라는 생각이 들었다.
역시 까칠했다.
그래서 감춰내고 가리려고한 우리 사회의 민낯을 과감하게 들어내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