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이사카 고타로 지음, 최고은 옮김 / 현대문학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외국작가의 이름은 외우기 쉽지 않다.
그래도 기억하는 몇몇 이름의 작가들이 있지만, 이 책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의 작가 이사카 고타로의 이름은 기억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데, 작가 소개를 보니, 나 역시 아는 작가이고, <사신치바> <골든 슬럼버>를 통해 이사카 고타로 작가의 작품을 만났었다.
책을 다 읽고나서 작가 소개를 보고 놀랐다.
내가 <사신치바> <골든 슬럼버>를 통해 만나보았던 스타일의 작가와는 완전히 달랐기 때문이다.
그전까지 나에게 추리소설 작가였던 작가가 이렇게 평범하지만 섬세한 사랑이야기를 쓰다니, 그저 놀라울 따름이었다.
이래서 이사카 고타로 작가가 천재라는 소리를 듣는구나 싶었다.
작가 소개를 보니, 아직 읽지는 않았지만, 익히 알고 있는 <집오리와 들오리의 코인로커>의 작가이기도 하니, 작가의 글쓰기 분야가 꽤 광범위한거 같았다.
이렇게 서평을 쓰니, 혹자는 이 소설이 어떨지 궁금해 할거 같다.
전혀 추리소설 작가의 소설들이라고 믿어지지 않을정도로 완전 다른 작가가 썼다고 해도 믿을 만큼의 작품이다.


이 책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는 단편집이다.
'아이네 클라이네'와 '라이트 헤비', '도쿠멘타', '룩스라이크', '메이크업' 마지막으로 '나흐트무지크'가 실려있다.
단편집이기는 하지만, 이 단편들은 모두 연결이 된다.
직장 선후배, 친구, 학교 선생님과 학생, 고교 동창등
그렇게 연결된 각각의 사람들의 만남 그리고, 연예, 이별, 상처들을 담고 있다.
그래서 각각을 보면 단편들이지만, 모두 함께 보면 하나의 이야기 같기도 하다.
마치 친구를 통해서 자신이 알고 있는 주변인들의 만남과 이야기들을 들은 느낌이다.
그러나 단편들은 철저히 3인칭 화자를 쓰고 있고, 각 등장 캐릭터들의 섬세한 감정선이 묘사되어서 마치 따로 보면 단편임이 분명히 느껴지게 쓰여졌다.
하지만, 맨 마지막 '나흐트무지크'에서는 현재의 일본인 최초로 세계 헤비급 챔피언인 오노 마나부의 아내 미나코, 미나코의 친구 유미와 남편 오다 가즈마 그리고 딸 미오, 유미와 가즈마의 친구 사토와 사토의 직장선배 후지마, 그리고 그녀의 딸 아미코로 이렇게 이야기는 이어간다.
그리고, 사사즈카 아케미와 구르메 구니히코에서 연결된 인연 가즈토와 오다 미오.
마지막으로 직장동료인 유이와 가오리 그리고 고교 동창 고쿠보 아키
이렇게 인연은 다시 다른 인연과 연결이 되고 그들의 만남은 사랑으로 발전하기도 하고 상처로만 남기도 하다.
여러가지 곡이 모여 연주되는 미뉴에트의 형태이지만, 세레나데에 가까웠던 작품이었던 모차르트의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작은 밤의 세레나데>"의 형식과 이 작품이 닮아있었다.
만남과 사랑, 결혼 그리고 추억에 대한 통일된 큰 흐름을 갖고 있지만, 주인공들이 모두 달랐고 상황도 달랐다.
딱히 다를 거 같지 않으면서도 서로 다른 사랑이야기, 그것이 진정한 사랑이 아닐까 싶었다.


사랑은 항상 만남과 헤어짐 또는 결혼 그리고 추억을 동반한다.
그 시절로 돌아가면 경쾌해지고 아름답게 다가오지만, 삶은 조금씩 변해가고 있다.
그래서 이사카 고타로 작가는 맨 마지막에 시간이 흐른 현재의 이야기를 담아낸 거 같다.
나의 부모님, 내 주변의 선배들 모두 사랑을 하고 추억을 쌓았고 결혼을 했지만, 조금씩 변해간다.
그러나 그들의 만남과 사랑은 추억속에서 언제나 아름답고 아름답다.
우리는 삶속에서 점점 변해가고 늙어가지만, 변해가는 삶속에서 언제나 만남은 존재하고, 사랑은 만남으로 이뤄지고, 만남으로 이루어진 사랑은 아름답다.
개인적으로 이 책속에 사이토라는 선곡해주는 노점상인이 존재하는데, 이 노점상인의 선곡과 가사를 눈여겨 보기를 권한다.
그것이 대부분 작가가 하고 싶은 이야기이고, 만남에서 상처를 받지 않으며 만남을 소중히 여기라는 메시지가 담겨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