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도 함께
존 아이언멍거 지음, 이은선 옮김 / 현대문학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책 소개를 보고 이 책 <고래와 함께>를 그저 가볍게 생각했던거 같다.

우화라는 단어가 주는 느낌에 이 책을 가볍게 그저 시간 때우기가 아닐까라고 미리 상상했다.

더구나 "알몸으로 해변가에서 발견된 남자"와 "해안가 근처에 온 고래"가 그냥 특별한 에히소드로 끝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한거 같다.

상상으로는 알몸으로 해변가에서 발견된 남자가 우연히 해안가 근처에 온 고래를 발견하고 그것을 구하는 과정이 메스컴에 보도가 되면서 유명해져 행복했다는 식으로 결론이 날것이라고 생각했다.

물론 처음과 끝은 비슷하긴 하지만, 과정은 너무나 달랐다.

알몸으로 해변가에서 발견된 남자의 정체가 드러나고, 특히 캐시라는 예측 프로그램이 등장하면서 이야기는 내 상상과 예상과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다.

그리고, 마지막 행복했다는 나의 상상과는 다른 정말 다른 행복이라서 가슴 따뜻해졌고, 이것이 우화인 이유는 이랬으면 하는 우리의 바램이 실현되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우선 주인공 알몸으로 해변가에서 발견된 남자는 이름이 조 학으로 투자은행에서 공매도 딜러들과 일하는 청년이다.

엄청난 스트레스적인 환경에서 버텨가며 일하였고, 그 와중에 캐시라는 인공지능적인 미래 예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미래에 닥쳐올수 있는 인류 멸망의 시나리오에 따라 자신이 근무하는 런던을 비롯해 전세계가 멸망의 길을 걷게 될것 이라는 것을 알게된다.

그러나, 캐시 프로그램의 문제로 레인 코프먼 은행은 손실을 입게 되고, 그 희생양으로 캐시 프로그램을 개발한 조 학이 희생양으로 지목된다.

그렇게 조 학은 자신이 살던 런던과는 완전히 다른 휴대폰도 안되고, 뉴스도 그다지 보지 않고, 라디오가 전부인 낯선 세인트 피란에 알몸으로 해변가에서 발견된다.

조 학은 캐시프로그램에서 예측한 세계멸망의 시나리오를 믿고 세인트 피란 주민들이 고립될 상황을 고려하여 자신의 전 재산을 털어서 음식과 물건을 쌇아간다.

이런 큰 이야기의 흐름속에서 세인트 피난 주민들, 사랑을 느끼게 되는 폴라와의 이야기, 런던에서의 상황들이 겹쳐 지나간다.

결론을 위에서 이미 말해버렸듯이, 예쌍외로 다른 방향으로 세계멸망은 세인트 피난에서 일어나게 되고, 리바이어던이 등장하면서 이야기는 행복한 결론으로 다가간다.

 

전체적인 소설의 분위기는 약간 세기말적인 분위기를 가지고 있고, 더구나 어느정도는 그런 분위기에 편승하여 성서분위기도 났다.

그렇지만, 그런 분위기가 어색하거나 거부감이 드는 것이 아니라, 우화답게 조금은 위트있게 진행되어 읽으면서도 부담스럽지는 않았다.

그리고, 소설을 읽고나니 왠지 마음 한 곳에 따뜻함이 남아있게 되고, 인류애와 인간 공동체에 조금은 믿음과 희망이 보이는 거 같았다.

이 책을 모두 읽고나서 최근 탄핵정국을 보았다.

정치와 정권은 세계멸말의 원인 감기 같았고, 200만 촛불은 세인트 피란의 사람들과 조학 그리고 고래를 닮아 있었다.

앞으로도 우리에게는 이기심과 탐욕에 의해서 많은 어려움이 닥칠 것이다.

그러나 세상 멸망은 없을 것이고, 우리가 희망이고 함께인 사람들이 희망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시기적으로 읽고 나니 참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