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요한 밤의 눈 - 제6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박주영 지음 / 다산책방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 6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이 타이틀에 그동안의 혼불문학상 수상작의 이미지들이 떠올랐다.

한국적인 색채, 한국적인 한에 관한 책이 대부분이었던 혼불문학상들이었다.

그래서, 이번 6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고요한 밤의 눈>의 책소개를 읽으면서 조금 의아했다.

약간의 결이 다른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스파이" 과연 이 소재가 그동안의 혼불문학상 수상작들과는 어떤 연결지점이 있는지 알수가 없었다.


이 책을 읽고난 총평부터 시작하고 가야할거 같다.

나에게는 정말 어려웠다.

마치 인문학 책을 읽는 느낌이 들었다.

한국어로 되어있고, 더구나 소설이라서 그다지 어려운 단어도 없는데도 전체적으로 맥락을 이해하고 풀어나가는데 힘들었다.

정확한 이름도 없고, 신분조차 정확치 않은 주인공들의 더듬어가는 모습들이 책을 읽는 독자인 나에게까지 전염되어 혼돈만을 남겨주었다.

책을 다 읽었는데도 아직도 혼돈뿐이다.

다른분의 책소개를 읽었는데, 나와는 전혀 다른 결론으로 서평을 썼다.

이게 뭔가 싶다.

내가 놓친 것인지, 아니면 그분이 잘못 해석한 것인지 (그럴거라고는 거의 생각하지 않는다).

어쨋든 혼돈과 애매모함으로 끝이 나버렸다.

그래서 이게 뭔가 싶지만, 하나의 메시지는 정확히 다가온다.

"현대인들의 정체성"

결론이나 그것의 해석이 그리고, 이야기의 전반적인 분위기가 이렇게 혼돈인 이유는 바로 우리의 모습을 그대로 투영해서 나타난 현상이라는 생각이 든다.


주인공은 정신과 의사인 언니가 사라진 쌍둥이 동생 D, 19살 이후의 기억이 사라져 버린 X, 그런 X에게 인위적인 기억을 심어주려는 스파이 Y, Y의 상사이면서 스파이계의 중간보스인 B, B와 Y에 의해서 감시당하는 Z이다.

각각의 이야기는 주인공들이 화자가 되어서 이야기가 진행된다.

D는 쌍둥이 언니가 왜 사라졌는지 모른채 언니를 대신해서 손님들의 정신과 상담을 해주고 기억하지만, 자신의 신분조차 국가에 기록되지 않은 존재이다.

X는 19살 이후의 기억을 찾기 위해 애쓰지만 그 기억을 찾는 대신 스파이가 되어버렸고, 누구의 사주인지도 누가 자신을 감시하고 지시하는지도 모른채 스파이 일을 한다.

Y는 수많은 신분으로 살아가는 스파이로 자신의 진짜 모습을 잃어버려 무엇이 진실인지 관심조차 가지려하지 않는다.

B는 안정된 직장, 안정된 가정을 가졌음에도 진실에 대한 양심에 대한 내적 고민을 심각하게 하고 있다.

Z는 가난한 소설가로 자신이 무엇을 쓰고 있는지도 모르지만, 쓰는 것을 멈추지 못하고 소설을 쓴다.

이들은 각 장마다 주인공이며 화자이다.

기억이 없는 자나, 정체성이 없는 자, 세상에 존재조차 하지 않는 자, 자신의 일에 대한 확신이 없는자,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르는 자들이 이야기에서 무엇을 찾을수 있을까 싶다.

처음부터 작가는 이런 애매모함을 유지하면서 이야기를 진행하고 싶었던거 같다.

그리고, 마지막에 들어나는 몇가지의 단서들 (그다지 놀랍지는 않다), 그중에서 "패자들의 서"가 단연코 이 소설의 핵심이 아닐까 싶다.


역사는 승자들에 의해서 쓰여진 소설이다.

즉, 그것은 진실과 양심을 반영하지 않은 왜곡된 기억과 조작의 흔적이다.

우린 그런 역사를 배우고 그 역사들을 만들어가며 살아간다.

하지만, 역사를 쓰는 승자들은 1% 그 미만이다.

거의 99%이상의 사람들이 살아가지만 그들에게 역사는 거짓이다.

99%이상의 사람들이 삶이 진실과 양심이지만, 그것들은 역사속에서 살수 없다.

그럼 99% 이상의 사람들은 진실과 양심에 따라 행동하고 있는가?

우리가 믿고 있는 진실과 양심은 누군가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조작된 것이 아닐까?

우리는 주위에서 우리가 진심으로 믿고 따랐던 것들이 거짓이고 조작이고 왜곡이었다는 것을 많이 보았다.

가장 대중적이고 대표적인 것이 선거공약이다.

우리는 이 세상에서 진실과 양심에 따라 행동하고 있다고만 말할수 없다.

사회적 분위기에, 여론에, 거짓에, 가면에 속고 또 속는다.

우리는 과연 누구이고, 무엇을 위해 살아가는가.

이런 질문에 대한 가장 극단적인 질문을 작가는 주인공들을 통해서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너무 어려웠고, 쉽지 않았던 거 같다.

기존의 혼불 문학상과는 꽤 다른 결의 독특한 작품이라는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