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 3 - 부용
김홍정 지음 / 솔출판사 / 201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그렇게 연향, 미금, 채선 세여인은 갔다. 그리고, 사람들은 남았다.

학정 정희중 아들 금석은 복귀되었지만, 갓개포와 정지포의 행수를 맡아 상단을 운영한다.

별장 한현학은 도원 마을을 일구어 사람들이랑 함께 살아간다.

소리채 아현각은 하현이, 취선당은 초정이 맡았다. 금수 하방은 장수가 행수역을 하게 되었다.

무량사 조실 스님의 말대로 연향은 죽지 않고, 이들과 상단과 소리채의 사람들로 이어져 살아 있었던 것이다.

책 제목은 부용이지만, 금강 3부의 주인공은 수많은 연향과 수많은 미금의 이야기이다.

모두 같은 운명의 공동체로 당당히 연향과 미금이 갔떤 길을 걸어간다.

충암의 유지에 의해서 사대부들과 선비들이 모여 이룬 동계도 주인공이 아니었다.

조선의 진정한 주인 백성이 주인공이었다.

이야기는 장수가 아들을 낳고, 한별장이 사람들이 마을을 만들고 경행상단 행수 정우달이 만상행수 소연과 혼례를 준비하면서 시작된다.

북적북적 소란소란스러운 일상의 삼ㄹ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그렇게 커다란 고목 연향과 미금이 가고 난 자리에 작은 새싹이 틔우는 것처럼 활기차고 아름답게 이야기는 시작된다.

그러나 동계 사람들의 삶은 그렇지 않았따.

조정을 바로 세우고 소위 군자의 도를 다하기 위해서 치열한 전략과 싸움이 있었고, 남원은 스스로 자신을 버린다.

송사련은 도원마을에 들러 앞으로 벌어질 국운에 대해 이야기를 해주게 되는데, 이것은 금강 3부에서 드려지는 스르프고 핏빛의 어두운 구름이 몰려오는 서막이었다.

시대는 선조의 시대였다.

조선의 왕중에서 가장 찌질하고 멍청한 왕중에 하나로 꼽히는 왕의 시대, 바로 선조의 시대였다.

선조하면 떠오르는 것이 도성과 백성을 버린 왕이라는 점이다.

무자년과 임진년의 어려움은 송사련이 미리 귀뜸해주었고, 여러 방책으로 백성들 스스로 대비하였으나, 동계와 같은 사대부와 사림은 이를 준비하지 못했다.

인본의 천리를 실현하여 사람이 사람인 것만으로도 충분히 살수 있는 가치와 근본을 지닌 세상을 이루려는 것이 정치임에도, 사대부와 권력욕에 쌓인 고위관직과 선조는 스스로 피두껍을 쓰고 주인인 백성을 저버린 것이다.

백성들 스스로 살길을 도모하기 위해 전전긍긍하지만, 피두껍을 쓴 그들에게 그저 주인이 아니라 민의가 아니라, 위협을 가하는 무리로만 보이지 않는 것이다.

그들은 살고자 했고, 살기 위해 노력했고, 함께 살고자 했을 뿐이었는데 말이다.

사람을 신분에 의해 가리지 않고 함께 일하고, 서로 정답게 웃는 얼굴로 인사를 나누고, 아침 굴뚝에 연기가 나지 않는 집에 음식을 나누고, 노인과 아이들을 돌보고, 서로 공경하면서 살아가고, 살아감에 억울함이 생기지 않도록 했을 뿐이다.

더 가지려고 아둥바둥하고 남의 것까지 빼앗는 저위의 사람들과는 달리 나누고 모자라면 채우면서 살았을 뿐이었다.

그런 그들이 연향과 미금과 같은 운명에 놓여 짓밟히게 된 것이다.

그래서 더 슬펐고, 아팠고, 좌절스러웠다.

금강 3부는 마치 레미제라블 영화를 보고난 느낌이었다.

하지만 그들의 운명이 이대로 멈추기를 바라지는 않았다.

더 많은 연향, 미금, 장수, 장쇠, 조실 스님, 정우달, 한별장, 한숭등이 생겨서 온나라를 뒤덮을 정도로 많아지길 바랬다.

폭우뒤 불어나 힘차게 흐르는 금강처럼... ...

3부작에 걸친 대 서사시는 끝이 났다.

처음 1부를 시작할때, 낯설은 단어와 어구 그리고, 문체가 초만 책에대한 몰입감을 떨어뜨렸고, 조금은 읽어나가기가 힘들었다.

하지만, 1부 중후반에 들어서면서 책에 대한 몰입감도 높아졌고, 이야기에 빠져들게 되었다.

그리고, 책을 읽어감녀서 내 마음속에 물결이 일어나고, 결국 마지막에는 파도치게 되었다.

오랜만에 만나는 대 서사시이라 반가웠다.

이 서평을 읽는 분들도 이 책을 읽고 가슴속 뜨거운 불덩어리를 만나보길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