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 2 - 미금
김홍정 지음 / 솔출판사 / 201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2부 에서는 본격적으로 여성들의 이야기가 나온다. 연향에 이어 금수하방의 대행수를 맡게된 미금과 소리채 아현각의 행수가 된 채선의 이야기이다. 연향이 떠나고, 연향이 하던 일을 나누어 맡게된 두 여인은 마치 아무일도 없듯 고요하게 상단과 아현각을 운영한다. 하지만, 연향에 의해 거두어지고, 행수자리까지 오른 그녀들에게 겉으로의 고요함과는 달리 내적으로는 요동친다. 마치 겉으로는 고요하지만, 바다로만 물살이 흐르는 금강과 같이 말이다. 미금은 영특함과 신중함을 바탕으로 송사련을 마주하고, 채선은 연민의 마음으로 이일제 종사관을 대한다. 둘다 그들에게는 원사이지만, 고요하게 평온하게 대한다. 하지만, 내면에 숨겨두었던 일은 언제나 밖으로 표출되어 발생한다. 고요히 흐르는 금강에 폭우도 오고, 가뭄에 강바닥을 들어내기도 하듯 그녀들은 고요히 모무를수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미선도, 채선도 자신의 선택과 그 선택에 따른 행보가 어떤 일을 초래할지 이미 알고 있었따. 그녀들은 물러서지 않았으며 가녀린 그녀들의 몸으로 모든 것을 기꺼이 받아들였다. 슬펐다. 아팠다. 그녀들은 그저 연향의 분신이었을 뿐이며, 그저 상단과 소리채에서 행수로써 자신의 역할을 했을 뿐이다. 미금과 채선뿐만 아니라, 별장 한현학도, 장수도 자신의 길을 갔을뿐이고, 그길은 운명과 같았고 그것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비록 그들이 예감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또다시 다가오는 희생을 막아내지 못했다. 그래서 금강 1부도 금강2 미금편이 더 슬프게 다가왔다. 금강 1에서는 연향은 스스로 개척해내는 삶을 선택했고, 그녀의 길처럼 느껴졌던 부분이 있었다. 그러나, 미금과 채선은 조금 달랐다. 그들에게는 주어진 운명이었지만, 벗어날수 없는 숙명은 아니었다. 연향은 숙명이라서 어쩔수 없이 가야 하는 길처럼 느껴졌다면, 미금과 채선은 연향이 갔던 길을 가지 않을수 있었던 것이다. 채선은 연모의 정에 이끌려서 미금과 자신을 위기에 몰아넣게 되었고, 연향과 같은 길을 가게 되었다면, 미금은 같은 여인으로서 채선의 선택을 말없이 지지해주어 결국 연향과 같은 길을 갔다. 그래서 더 슬펐고, 더 안타까웠고, 더 많이 아팠다.

강가에는 많은 동물과 사람들이 모인다. 그리고, 강에는 많은 물고기들이 산다. 동물, 식물, 인간할것없이 강은 삶의 터전이다. 그러나, 강은 삶의 터전인 동시에 죽음도 발생한다. 이처럼 선택, 또는 운명이라는 이름앞에서 우리는 멀게 흐르는 강물을 바라만 볼수 밖에 없다. 채선도, 미선도 그러했을 것이다. 이리 흘러 갈것을 알면서도, 이렇게 끝날것을 알면서도 우두커니 바라볼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책을 읽어가면서 두 여인과 그녀들을 둘러싼 사람들의 모습들을 바라보면서 멍해지는 느낌이 있었다. 2부, 미금이 끝났다. 금강 3부 부영을 바라보면서 머뭇거리게 되었다. 그리고 "오늘은 이말 읽자"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미 연향, 미금, 채선 세 여인을 보냈다. 너무 슬프고 아팠다. 그리고, 3부 부영을 읽으면서 다가올 운명이 무겁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금강이 흐르듯 난 3부 부영을 읽어서 금강을 떠나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