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화 - 1940, 세 소녀 이야기
권비영 지음 / 북폴리오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소설은 "국가의 불행은 국민들의 불행이다"라는 말이 떠오르는 이야기였다.

세명의 여자아이들, 혼란스러운 사회나 전쟁중에서 가장 약한 존재인 어린이이자, 여성인 두 조건을 모두 갖춘 존재들이다.

이 소녀들의 이야기가 <몽화>에 담겨져 있었다.

'위안부 문제'의 일환으로 권비영 작가가 쓴 작품이라고 책소개를 통해 읽었따.

하지만, 이 작품은 위안부만 다루고 있지는 않았다.

나라잃은 조국의 소녀들이 겪어내야만 했던 모습들과 그녀들을 둘러싼 조선인들이 감내해야만 했던 안타까운 모습들을 모두 담아내고 있었다.

책 제목 몽화처럼 한창 꿈을 꾸는 소녀들의 장래희망으로 시작하, 그 몽화들이 제대로 피어내지 못하고 모두 뿔뿔히 흩어져서 떨어져 사는 모습이 담겨진 소설이었다

세 소녀중 차영실은 중학교를 다니지 못했지만, 선생님이 되고 싶어했고, 정인은 현모양처가 되고 싶어했고, 은화는 작가가 되고 싶어했다.

이처럼 세명의 몽화는 자신의 꿈을 쫓아 생활하기보다는 환란의 나라에서 일본과 이기적인 어른들에 의해서 휩쓸려 떠내려간다, 자신의 의지와는 다르게.

영실이의 아버지가 창씨개명에 반대하여 일본인 순사를 때리고, 만주로 도망간 덕분에 영실이 엄마는 영실이를 경성 을순이 이모집에 맡기고 남편을 찾아 만주로 떠난다.

그렇게 경성에 온 영실이는 이모네 국밥집에서 얻혀 살게 되고, 이모네 형편을 보고 중학교를 다닐 꿈을 포기한다.

하지만, 경성에서 친구 정인과 은화를 만나게 되면서 그나마 위로를 얻는다.

어려운 시국과 혼란한 정세, 그리고 이기적인 어른들의 세계에서 은신할수 있는 아지트에서 세 소녀들은 몽화가 된다.

현재 세계에서의 소녀들이었다면, 소설속에서의 세 소녀들의 몽화는 만개했겠지만, 시대적 불행은 그녀들을 삼켜버린다.

제밥벌이를 하기 위해서, 공부를 하기 위해서, 현재보다는 나은 삶을 위해서, 소녀들은 선택을 해야만 했고, 선택을 당하게 된다.

꿈이 꺾여가는 길속으로 가게 되는 것이다

그나마, 정인은 친일 아버지 덕에 사랑하지 않는 사람을 만나지만, 꿈에 가까이는 간 편이다.

나머지 두 소녀는 위안부, 독립군 아버지, 탄광노동자 등등 다양한 침탈의 소용돌이에 휘말리면서 하나둘씩 사그러져 간다.

어린 소녀들 뿐만 아니라, 소년들, 부녀자들, 아저씨들까지 그 시대의 모든 조선인들은 모두 피해자이고, 희생을 강요받는 조선인이었다.

영실, 은화를 바라보면서 너무나 안타까웠고, 아팠다.

하지만, 그 못지 않게 차씨 아저씨, 칠복, 태선어미, 태일, 을순 이모, 영실엄마까지 하나같이 불쌍하고 가슴아팠다.

이책을 읽으면서, 새삼 새롭게 느꼈다.

친일청산을 못한 우리는 바보라는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

아무리 고뇌와 우울함을 겪었다고는 하지만, 친일을 한 사람과 그 자녀들은 정신적 불안감에 있었을뿐, 생사를 걸어야만 할만큼 위험한 상황에 놓이지도 않았고, 희생을 강요받지도 않았다.

해방후 시간이 오래지난 지금, 친일자손들에게 불안감따위는 없는듯 보인다.

친일 자손들이 부끄러움도 없이 사도 지도층에 있으면서 공산주의를 최대 악인것이라고 말하는 것만 봐도 그러하다.

나에게는 친일이나 공산주의나 모두 같이 나쁜데도 말이다.

난 아직 늦지 않았다고 본다.

우리가 일본에게 사과와 배상을 요구해야만 하듯, 친일인사와 그 자손들에게도 진정한 사과와 댓가를 치르도록 요구해야만 한다고 본다.

그래야, 국가와 국민을 믿고 민초들이 살아갈수 있다고 본다.

이것은 신뢰와 의리의 문제이고, 이것은 사회기반의 기초라고 본다.

일본과 친일 인사와 자손에게 이야기하고 싶다.

이 책을 읽어라, 그리고 그대가 영실과 은화였다면 지금의 너희들을 어떻게 생각하게 될지를 느껴봐라 XXX들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