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고 싶다 - 2014년 제10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이동원 지음 / 나무옆의자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자인 나에게 군대는 나에게 먼 세상이다.

하지만 친구나 선후배에게 들은 군대는 단순무식 다람쥐 채바퀴였다.

잘 모르는 세계이기에 친구나 후배들이 군대간다고 하면 영혼없이 "잘 다녀와"라고 이야기했고 속으로는 '남자면 다들 가니'라는 생각을 했다.

아마 대학교 3~4학년때인거 같다.

친구의 오빠가 군대에서 사고가 났다는 소식을 들었다.

친구의 오빠는 그저 싸움을 말리고 있었을뿐이데, 배를 칼로 찔렸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후로 군대라는 곳은 조금은 공포스러운 곳이 되어버렸고, 그저 영혼없이 "잘 다녀와"라고 말할수 없었다.

남자들의 집단, 엄격한 규율과 계급사회, 스트레스가 많지만 풀어낼수 없이 억압적 분위기.

부적응자와 적응자로 나뉘게 되고, 관심병사라는 제도가 등장했다고 들었다. 

축소된 하나의 사회이지만, 일반 사회와 달리 더욱 폐쇄적이고 억압된 사회라 인간의 잔인한 본성이 도덕성과 대립하는 곳이 아닐까 라는 생각을했다. 

 

최근에 GOP총기사건이 일어났고, 난 그때 <살고 싶다>를 읽고 있었다.

관심병사의 총기사건은 소설속 정선한 병장과 겹칠수 밖에 없었다.

임모병장은 밖으로 분출해서 복수의 칼날을 밖으로 겨눴던 것이다.

인간들의 집합소라는 점에서 인간관계의 갈등이 현실 임모병장에게도 존재했을 것이고, 바로 정선한 병장도 존재했다.

소설은 이를 친구인 이 필립 병장이 풀어내어 가는 구도를 갖고 있다.

친구의 죽음을 더듬어가면서 자신의 모습을 투영해가는 모습은 꽤 흡입력있게 풀어내고 있었다.

 

최근에 벌어진 사건뿐만 아니라, 그동안 있었던 군대의 사망사건이 나름의 조금 다른 인물과 갈들이 잇겠지만, 근원적인 원인은 하나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면서 국방의 의무에 대해 고민도 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다양한 사람들을 하나의 틀에 가두고 그 틀에서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군대의 문화가 과연 우리에게 필요악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이다.

이런면에서 이동원 작가의 소설은 꽤 울림이 있었다 

또한 세계문학상 수상작 다운 갈등구도의 치밀함과 반전은 꽤 매력적이었다.

군대 생활을 하셨던 분이라면 더욱 이 책을 재미있게 읽을거 같고, 최근의 임모병장의 총기사건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 읽어보면 좋을 책이라는 생각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군대라는 사회에서도, 그리고, 군대 밖의 사회에서도 자신의 주변 사람들에게 인간적 연민과 사랑이 있는 사회였으면 하는 바람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