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침대와 책 - 지상에서 가장 관능적인 독서기
정혜윤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침대라는 공간은 참으로 개인적인 공간이다.
그공간에 함께 할수 있는 것이 몇이나 될까?
밤에 깨어날때를 대비한 스탠드와 인형 그리고 배우자 정도?
나에게 있어서 침대라는 공간에 함께 할수 있는 것은
작은 다람쥐인형과 핸드폰, 스탠드 그리고, 책이다.
스탠드도 학생용 스탠드가 마련되어 있고, 침대 머릿장에는 가득 책들이 꼽혀 있고,
침대 옆에도 책들이 차곡차곡 싸여있다.
내가 책을 침대에서 읽는 이유는 가장 편한 자세로 책을 읽고 싶어서이다.
하지만, 이책을 통해 내가 책을 침대에서 읽는 이유는 모두 여행이라는 같은 맥락이 아닐까 싶다.
책을 통한 여행과 침대속 꿈속여행.
하루를 마치고 나면 많은 생각들이 떠오른다.
그중 특히 머릿속에서 떠나가지 않는 생각들이 있다.
이책에서 정혜윤 작가님(난 정혜윤님을 PD로서 보다 작가로 만났다)도 그런 생각들 중 침대에 까지 쫓아오는 생각들을 그동안 읽었을 책들을 떠올리며 생각을 쫓는다.
그런 생각들과 책들이 침대에 드리워진 따뜻하고 섬세한 휘장과 같이 흔들리고 있었다.
사랑, 그 사랑의 끝, 우울, 그리고 일상다반사와 같이 흔들리고 있었다.
침대의 이미지와 같이 약간은 몽유적인 느낌도 있으며, 이리저리 옮겨다니는 책들속에서, 영화속에서 그리고 생각들 속에서 때로는 책속에 주인공이 되고, 때로는 철저히 관찰자가 되기도 했다.
대부분은 보지 못한 영화와 책들이 다반사였지만, 그래도 충분히 그 느낌만은 가지고 갈수 있었다.
정혜윤 작가님은 보들레르의 <악의 꽃>인에 감동을 느꼈고, 뒤라스의 <연인>을 읽고 성형수술을 ㅅ포기하고,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그리스인 조르바>를 읽고 아버지를 이해하였다.
움베르토 에코의 '어떻게 지내십니까'라는 질문에 답해보기도 하며, 니콜 크라우스의 <사랑의 역사>를 통해 주인공인 폴란드계 유대 노인의 고통을 처리하는 방식을 배우기도 했다.
부족한 독서량이지만, 책속에서 그리고, 영화와 음악속에서 그처럼 많은 생각과 기억을 해낼수 있다는 점에서 놀랍기도 했으며, 존경스럽게도 했다.
이책의 마지막은 책의 뒷장 표지가 아닐까 싶다.
침대와 책의 공통점 10가지.
나는 이 10가지에 11번째 공통점을 덧붙이고 싶다.
11. 어디로든 갈수 있다.
작가 정혜윤의 움베르토 에코의 '어떻게 지내십니까'의 질문에 대한
'침대에서 보여줄 수 있는게 아직도 많습니다'라는 답변에 또다른 작가의 책을 기대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