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그레이트 로젠펠트
다니엘 월러스 글.그림, 문은실 옮김 / 동아시아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하하하, 케케케, 우히히.

정말 묘하게 개그스럽고, 또 묘하게 억지스러우며, 또 묘하게 측은한 책이다.

이책은 시대는 알수 없지만, 한 부족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는 우스광스러운 책이다.

부족이라고 해보았자 거의 가족, 친족수준의 33명과 1/2이다.

남자 13명, 여자 10명, 어린이 10명, 그리고, 상체만 존재하는 로이 1/2.

이야기는 정말 허무하다.

그저 부족의 약간은 무식하고, 또 약간은 순박한 이야기들을 전개하고 있다.

그 이야기의 발단과 중심에 샐리와 로젠펠트가 있다. 아니 정확히 로젠펠트 3세

 

이책은 애시버튼-모스비가문의 서기 조지의 관점에서 철저히 쓰여지고 있다.

조지는 여자같으며, 연약하고, 소심하다.

그는 그렇게 자신의 캐릭터처럼 글을 전개하고 있다.

부족중에서 가장 바보 같고, 실없는 모습이 트레이드 마크인 로젠펠트 3세를 항상, 위대한~ 로젠펠트라고 부른다.

그리고, 그를 실없는 사람으로 철저히 묘사하면서도, 우스꽝스레 포장한다.

또한, 없는 이야기를 로젠펠트를 위해 만들어내기까지 한다.

로젠펠트의 첫번째 족장으로서의 법은 "벼랑들 근처에는 얼씬도 하지마라"였다.

결국 마지막, 그 법을 지키지 않는 사람들로 인해 목숨을 구한다.

정말 아이러니이면서도 우스꽝스러웠다.

그가 그런 법을 만든 이유는 그의 아버지 로젠펠트2세의 죽음때문이었다.

이가문 역시 정말 우스웠다.

우선 로젠펠트 1세는 벌에쏘여 죽었고, 2세는 도망치다 나무뿌리에 걸려 벼랑에서 떨어져 죽었다.

이 이야기만으로도 정말 아둔한 천치같은 3세는 어찌 죽음을 맞이할까 심히 걱정도 되고, 궁금하기 까지했다.

위대한 정복자로 칭송되었던 2세도 3세와 그다지 다르지 않았으리라 짐작이 간다.

샐리라는 아름다운 아가씨.

차마 그 아름다움을 그릴수 없어, 잠시 뒷모습만으로 등장했던 그 아가씨를 차지하기 위한,

윌슨과 로젠펠트와의 전쟁... 앗 아니 그저 신경전. ㅋㅋ

진정한 싸움은 책을 읽을 사람들의 몫으로 남겨두겠다.

그저 자기가 만든 법때문에, 벼랑앞 구릉에서 야영을 하는 로젠펠트와 어리석은 부족들.

그로인해 생기는 불편함 조차 제대로 말하지 못하는 사람들.

난 왠지 이 부족사람들이 친근했다. 그리고, 로젠펠트가 사랑스러웠다.

그들이 순박해서, 천치같아서..... 솔직히 잘 모르겟다.

하지만, 이 들의 괴상하고, 바보같은 발상들 속에서 유쾌해지는 나자신을 보면,

분명 그들은 사랑스러운 존재들임에 틀림없다

적당히 멍청하고, 적당히 현명한 사람들.

아마 그들의 모습이 우리와 같고, 우리속의 이야기로 다가와서 일지도 모른다.

간만에 과장되지 않은 유쾌함속에서 즐거운 기억을 남길수 있었다.

참. 이책을 읽는 모든 분들이 부디 로젠펠트 3세의 위대함을 찾지 않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