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발견 - 5,000년의 사랑 이야기
이수현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이 책의 모티브는 2007년 이탈리아 만토바 근처 발다로 유적지의 두 남녀 유골이다.

두 남녀가 서로를 마주보면서 포옹한채고 묻혀 있어 발다로 연인이라고 불린다고 했다.

이 사진에서 보이는 모습은 흉측한 해골이 아니라, 서로 마주보고 있는 그리고, 그렇게 죽어간 아름다움이었다.

이 모티브에서 출발한 이 책은 매우 독특했다.

특히 처음 프롤로그가 더욱 그러했다.

작가는 네안데르 탈인의 멸족에 대한 이유를 "사랑의 기술"을 몰랐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이 작가의 프롤로그에서 우리는 "사랑의 기술"을 만날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 책은 마치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를 보는 듯하다.

그 구성도 인물의 엮음도 비슷하다.

하지만, 이책은 좀더 사랑에 대해 촛점을 맞추고 있어, 서로 다른 남녀간에 사랑을 위해 해야할 행동과 마음가짐이 담겨져 있었다.

스토리는 매우 간단했다.

물가사람으로 키워진 릴라가, 엄마인 이와티와 같이 간 꽃과 열매의 땅에서 바위종족인 한 사내를 만나게 되었다.

그후 그를 지우지 못한 릴라는 동족에게서 쫓겨나게 되고, 다시 그 바위종족을 만나게 된다.

그때는 이미 빙하기가 시작된 시기. 바위 종족과 함께 돌아간 고향은 이미 모두들 떠난 후였고, 이와티는 얼어 죽는다.

그렇게 릴라와 루가 (릴라가 지어준 바위 종족 사내 이름. 절루가의 약자)는 그렇게 따뜻한 태양의 땅으로 향해 여행을 한다.

그 둘은 서로가 너무나 다름을 알게 되고, 그리고, 서로를 이해하는 법을 배웠고, 서로를 의지하였고, 결국 그둘은 사랑을 하였다.

그리고, 해피앤딩.

이런 스토리이다.

스토리는 어쩜 너무나 간단할 수 있다.

하지만, 작가의 세심함이 곳곳에 묻어나 있는 스토리였다.

특히 릴라를 꽃과 물을 좋아하는 그리고, 열매등을 먹는 물가 사람으로, 루가를 사냥을 하고, 자신의 약점을 밖으로 들어내지 않는 무뚝뚝한 바위 종족으로 한 점은 작가의 고민과 아이디어가 묻어나 있어 신선하고 상큼했다.

불을 피우는 장면과, 루가의 목에 묶인 가죽줄등... 곳곳에서 작가의 셈세함과 아이디어가 돋보였다.

특히 한 장 한 장 넘어갈때마다 나타나는 박스안 메모들.

모두들 하나같이 현재에도 적용되는 그리고, 너무나 공감하는 내용들이 있었다.

 

왜 여자들은 남자들을 귀여워 하나?

사랑은 나뉘어서 반쪽이 된 하나일까? 만나서 하나가 된 둘일까?

왜 사랑할수록 서로를 구속하는가?

왜 남자는 '미안하다'고 말하는데 서투른가?

 

서로 다른 종족... 하지만 사랑을 할 수 있는 종족. 그리고, 사랑을 통해 살아남는 종족.

이것이 과연 책속의 시절만의 이야기는 아닐것이다.

견디어 내기 힘든 빙하기와 야생의 자연속에서 살아남는 방법이 바로 "사랑"이라고...

그리고, 현재 진화된 우리에게도 어렵고, 찾기 힘든것이 사랑이며, 또한 살아남는 방법도 사랑이라고 말하고 있었다.

사랑. 우리 인류에게 이처럼 정의가 많은 단어가 또 있을까?

가슴속 안타까웠던 사랑도, 아름다웠던 사랑도 모두 하나씩 지나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