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의 죽음 - 오래된 숲에서 펼쳐지는 소멸과 탄생의 위대한 드라마
차윤정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제가 존경하는 교수님중에 생태학을 전공하시는 분이 계시다.

그분은 산을 사랑하셨고, 그 숲속에서 살고자 하셨던 분이셨다.

한번은 그분께 생태학을 들은 적이 있었다.

그래서 남달리 생태에 지식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책을 접하고, 내가 얼마나 무지하고 자만했는지 알수 있었다.

 

오래된 숲을 지나간 적이 있다.

우리나라에는 그리 흔한 것은 아니지만, 대학시절 채집반을 따라 가본적이 있다.

이끼에, 죽어 썩어가는 나무, 새로이 자라나는 어린 나무들.

숲은 고요했으나, 그 숲안은 치열하였고, 생동감이 넘쳤다.

마치 도시가 멀리서 보기에 아름답듯이.

 

이책은 생태학의 총 보고서라는 느낌을 받았다.

매우 쉽고 자세한 설명, 거기에 덧붙어 있는 사진과 삽화들.

생태학의 전공서로 삼아도 거의 손색이 없을 정도였다.

매우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있으며, 매우 자세한 설명도 있다.

이책을 들고, 저 높은 오래된 숲을 방문한다면, 더 많은 것들을 이해하고 만나볼수 있을거 같다.

 

죽어가는 나무들. 그리고, 다시 살아나는 나무들.

마치 환생의 의미를 담고 있는듯 하다.

나무가 우리가 보는 나무를 죽은 부분과 살아있는 부분이 공존한다고 한번도 생각해 본적이없다.

그들이 그렇게 치열하게 싸우고, 이겨내고, 방어하는지 몰랐다.

그저 무심한 한번을 발길질이나, 흠집을 내는 일이 그들에게 어떠한 결과를 초래하는지도 알았다.

 

봄이 좋은 이유는 새록새록 돋아나는 아름다운 새싹들과 새잎때문이고,

여름이 좋은 이유는 푸르름이 가득하기 때문이고,

가을이 좋은 이유는 알록달록한 잎들의 향연을 보기 때문이다.

이 좋음은 나무가 살아 숨쉬고, 살아남기 위한 치열함의 결과인 것이다.

겨울이 추운 이유는 나무가 잠시 잠을 자기 때문이다.

 

수피, 물관, 수관등 상세한 나무의 해부학적 지식들이 가득했을뿐 아니라,

그 주변생물과의 공생, 또는 전쟁을 상세히 잘 엮어놓았다.

나무의 삶이 끝이 또다른 삶의 시작임을 그리고, 그런 삶의 윤회의 소중함을 책은 조용히 울부짖었다. 마치 나무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