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파는 외계인, 미친 초록별에 오다
웨인 W. 다이어 지음, 김보영 옮김 / 21세기북스 / 2007년 1월
평점 :
절판


웨인 다이어. 행복한 이기주의자를 통해 만났던 작가이다.

개인적으로 행복한 이기주의자가 너무 좋았기 때문에 많이 기대했다.

그리고, 외계인의 시각이라는 독특하면서도 멋진 아이디어에 끌렸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책은 너무 어렵고 말장난 같았다.

그렇다고 이책이 읽을 필요없을 정도로 터무니 없다는 말은 아니다.

개념은 확실하였다.

인간은 해결하지도 못할 부분에 대해

어쩌면 불필요한 부정적인 부분에 너무 치중하여 스스로를 불행하게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정확한 지적이다.

이런 정확한 문제파악에도 불구하고, 이책을 어렵다고 이야기 하는 이유는

외계인인 에이키스의 사고와 말들이었다.

왠지 이해가 갈듯 하면서도, 아리송하고, 공감이 가다가도 뭔지모를 의문이 드는 하여간 딱하니 손에 잡히는 것은 아닌 그런 말들과 사고였다.

외계인이라서 그런가? ^^

이렇게 약간은 난해하고, 약간은 이해 불가능한 말들이 가득하였지만,

왜 우리가 불행한지에 대한 새로운 시각 내지는 정확한 비판이 돋보였다.

책의 표지에도 있듯, "행복에 이르는 길은 없어요. 행복은 그 길을 사는 방식이에요"

라는 글귀가 나의 행복한 삶이라는 목표를 흔들기에 충분했고,

진정 행복해지기 원한다면, 지금 이시간에 행복해져야 한다는 생각을 들게 하였다.

언젠가는 되겠지, 이것만 이룬다면.... 기타등등의 생각은 나를 행복에서 멀어지게만 한것이다.우라누스와 달리 우리는 우리의 감정과 행동등을 자유의지에 의해 선택할 수 있는 자유인이다.

하지만 항상 우리의 선택은 에이키스의 말처럼 부정적인 것을 향해 있었다.

우리 주변에서 칭찬을 받는 것보다는 "안돼. 금지. 하지마시오"등의 글귀에 익숙하다.

돌이켜 생각하면, "노상방뇨금지" 노상방뇨하는 사람보다는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많지만, 우리는 두드러지게 노상방뇨하는 일부를 위해 모든사람이 부정적인 단어 금지를 보게된다.

이런식으로 우리는 부정적인 단어와 생각에 익숙해 진것일지 모른다.

외양을 중시하는 사고,

규칙을 중시하는 사고,

성공을 지향하는 사고,

지배하려는 사고,

소유와 집착하려는 사고.

이것들이 우리의 행복을 앗아가고 있었던 것이다.

자세히 들여다 보면 정확한 우리의 사회이다.

너무나 정확하며 날카로운 분석이었다.

그리고, 우리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 이것이 당연한 삶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던 것이다.

지금부터, 아니 이순간 부터 우리의 삶을 조금씩 바꿔간다면,

비록 소유한 것이 없어도, 지배하고 있는 것이 없어도, 성공하지 못해요, 규칙을 따르지 않아도, 외향적으로 멋지지 않아도, 행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