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송어낚시 비채 모던 앤 클래식 문학 Modern & Classic
리차드 브라우티건 지음, 김성곤 옮김 / 비채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처음 만났을때, 난 웃고 있는 물고기 그림과, 깨끗한 표지, 그리고, 산뜻한 색감의 조화가 인상적이었고, 책이 재미있고 유쾌하리라 예상했다.

하지만, 난 이책을 몇장 채 읽지도 않아 나의 예상은 빗나갔음을 알았다.

아니 정확히 리처드 브라우티건이 약간은 건방지고, 또 약간은 퇴폐적이고, 또 약간은 반사회적인 모습으로 벤자민 프랭클린 동상앞에서 찍은 사진을 보고 예감했다.

 

전체적인 나의 이책에 대한 느낌은 결코 만만치 않은 책이라는 것이다.

마지막 책을 덮을때까지 그리고, 책의 표지를 다시 보았을때까지도 난 약간 멍하면서 복잡한 느낌을 지울수가 없었다.

책은 읽기 쉬운 문체와 간략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마치 철학서 한권을 읽은 듯한 느낌이 들었다.

그시대 미국 대학생들이 이책을 갖고 다닌 이유는 바로, 책이 쉽지 않고, 무언가를 계속 갈구케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송어... 왜 많은 낚시 중에 송어였을까? 특히 무지개빛 송어이었을까?

송어는 특히 미국의 송어는 희망이자, 추억이자, 미국인 자신이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돈 몇푼에 팔려나가는 하천, 오랫동안 오염과 개발에 몸살을 앓는 하천에서 결국 송어는 사라지는 것이다.

 

미국의 송어낚시는 비판적이며, 회상적이며, 반사회적이며, 친환경적이었다.

작가 리처드 브라우티건의 복잡 미묘한 감정이 송어 낚시와 자연환경과 어울어져 있으며, 사람들과 맞닿아 있다.

화이트 와인에 죽은 송어, 송어가 없는 하천, 그리고, 송어와 FBI 그리고 책방주인.

자연속에 송어가 있고, 송어 속에 우리의 모습이 있었다.

한글귀 한글귀 또는 한문장 한문장. 작가의 생각과 사상이 녹아나 있었지만,

사실 다른 세상을 사는 사람으로 모두 공감가는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전체적인 흐름과 메시지 만은 이시대의 사람들이 느끼는 그것과 닮아 있음을 알수 있었다.

 

작가의 소원대로 마요네즈로 끝마친 송어 낚시.

나도 그시대의 미국 청년들 처럼 이책을 한동안 들고 다녀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