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인간 1 - 북극성
조안 스파르 지음, 임미경 옮김 / 현대문학 / 2006년 10월
평점 :
품절


 

나무는 참으로 오랫동안 살아간다.

나무인간도 마찬가지이고, 시간이라는 개념에 둔감한 녀석이다.

하지만 나무인간은 나무의 차가운 질감과 달리 매우 예민하고, 따뜻했다.

이책은 책표지에 보이는 둥근 두개의 눈과 코 그리고 입에서 보이듯이 공허함이 맴돌았으며,

허무함도 느껴졌다.

역사의 배경속에 신화와 전설, 종교와 철학 그리고 동화적 요소와 판타지적 요소가 교묘히 잘 섞여 있어 책을 읽는 내내 내가 무슨 책을 읽었는지 헷갈리게 하였다.

가득한 그림의 거친 붓터치가 전체적인 책의 느낌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었다.

이책은 정말 나무인간의 깊은 눈처럼 인간사의 모든 면을 가득 담고 있다고 생각된다.

나무인간의 친구인 엘리아우는 우리내가 갖고 있는 지식욕 및 사랑을 담고 있었고,

또하나의 친구인 골렘은 우리내가 갖고 있는 맹신과 무개념 및 순박함을 담고 있었다.

가장 큰 갈등으로 등장하는 북극성 왕 알리트바라이는 세상의 오만과 욕심을 반영하였다.

또한 떡갈나무수호정령인 카카는 마치 우리내 남성들이 자주 보이는 허세와 영웅심을 반영하고 있었다.

많은 등장인물들이 하나같이 다른 모습 다른 형태로 등장하지만, 우리내 인생에서 마주치는 다양한 인간의 모습을 담고 있었다.

책은 북긍성 왕 알리트바라이의 떡갈나무의 공격에서 그 갈등이 시작되는 스토리이다.

나무인간은 단지 친구인 알리아우와 골렘과 같이 음악 연주를 하며, 오래된 고전을 읽고, 가구를 만드는 평범한 삶에서 행복을 느끼고 있었다.

다른 누군가의 욕심과 그 욕심을 채우기 위한 음모에 휘말리게 되면서 친구들과 나무인간은 새로운 친구를 만나게 되고, 위험에 처하게 된다.

난 이책의 교훈을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려웠다.

단지 이 책의 작가 조안 스파르가 어떤 이야기를 우리에게 하기 위해 이 책을 썼는지 정확히는 모르겟다.

아마도 이책이 나무인간의 1권이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책에서 내가 느낀 것은 나의 어떤 욕심과 편견으로 인해 엄청난 사건이 일어날수 있으며, 욕심으로 일어나는 끔찍함을 배울수 있었다.

나무인간 마치 오랜세월을 산 만큼 진중함과 원로에서 느껴지는 기품은 없었지만,

그가 겪는 일상에서 튀어나오는 자연스러운 대화와 행동이 나름 배울점이 있다고 생각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