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옮긴이의 말

제1장 전후맥락

제2장 주제들의 개관

  2.1. 텍스트와 번역서들에 대한 매모

제3장 본문 읽기

  3.1. 사랑을 찬미하면서

    3.1.1. 프롤로그

      3.1.1.1. 크세노폰의 『향연』

      3.1.1.2. 플라톤의 『파이드로스』

    3.1.2. 이야기 서술의 틀

      3.1.2.1. (172a-174a)

      3.1.2.2. (174a-178a)

    3.1.3. 파이드로스의 연설(178a-180c)

    3.1.4. 파우사니아스의 연설(180c-185e)

    3.1.5. 에릭시마코스의 연설(185e-189d)

    3.1.6. 아리스토파네스의 연설(189d-194e)

    3.1.7. 아가톤의 연설(194e-197e)

  3.2. 디오티마가 설명하다

    3.2.1. 아가톤에 반대하는 소크라테스(199c-201c)

    3.2.2. 소크라테스에 반대하는 디오티마(201c-203b)

    3.2.3. 디오티마: 더 작은 비의(203b-209e)

    3.2.4. 디오티마: 더 큰 비의(209e-212c)

  3.3. 알키키비아데스, 사티로스극

    3.3.1. 알키비아데스의 도착(212c- 215a)

    3.3.2. 소크라테스를 칭찬하며(215a-222c)

      3.3.2.1. (215c-216b)

      3.3.2.2. (216b-217a)

      3.3.2.3. (217a-219d)

      3.3.2.4. (219d-222c)

    3.3.3. 향연이 끝나다(222c-223d)

제4장 수용과 영향

  4.1. 철학적 향연

  4.2. 실레노스적인 텍스트들

  4.3. 폴라톤적인 사랑

  4.4. 좋은 것과 아름다운 것

  4.5. 세속적인 사랑과 천상의 사랑

  4.6. 디오티마, 부재 그리고 대치

  4.7. 철학자 시인들과 시인 철학자들

더 읽어야 할 책들

  1차적 텍스트와 번역서

  2차 문헌

찾아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떤 상황에서 국가는 정당한 정치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가? 우리는 평범한 시민으로서 국가가 정한 법이나 그 밖의 명렁에 복종할 의무를 어느 정도나 지는가?


정치권력은 엄밀한 의미에서의 권위와 강제되는 준수를 결합한다. 


정치권력은, 특히 그것이 근대 국가처럼 강력한 조직체에 의해 행사될 때는, 우리에게 결코 달갑지 않은 극도로 많은 요구를 부과한다.


우리에게는 정치권력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그것이 우리에게 다른 사람들을 신뢰할 수 있도록 해주는 안전을 제공하고, 신뢰의 분위기 속에서 사람들은 홉스가 '자연 상태'에 현저히 결여되어 있는 것으로 열거한 그 모든 편익을 산출하기 위해 협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가가 규제에 나서고 세금을 부과하고 군대에 징집하고 그밖의 여러 방식으로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칠 때 우리는 국가를 싫어할지도 모르지만, 국가 없이는 잘 살아갈 수 없을 것이다. 진정한 선택은 정치권력을 갖느냐 마느냐가 아니라 어떤 종류의 권력을 가질 것인가와 그 한계는 어디여야 하는가이다.


오늘날의 사회에서 실제로 비용과 편익이 분배되는 방식이 이러한 이상에 한참이나 미치지 못한다면(이것은 사실인 듯하지만), 그래도 우리는 모든 사람이 공정한 실천을 유지하기 위해 법에 복종할 의무를 진다고 말할 수 있을까?


정치적 의무가 모든 경우에 구속력을 가질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우리는 법에 복종할 일반적 의무를 지지만, 극단적 상황에서는 불법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정당화될 수 있다.

  여기서 민주주의는 어떤 차이를 만들어내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문학 고전 강의 - 내재하는 체험, 매개하는 서사⟫, 제6강(1) 

https://ratiopress.podbean.com/e/%eb%ac%b8%ed%95%99-%ea%b3%a0%ec%a0%84-%ea%b0%95%ec%9d%98-%e2%80%94-13/


고향을 떠나 타지에 갔다가 다시 고향으로 돌아오는 것은 하나의 경험입니다. 낯선 것을 겪은 후 다시 돌아와서 보는 고향은 떠나기 전에 보았던 것과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될 것입니다. 길가메쉬가 모험을 하러 고향을 떠났던 것과 마찬가지의 경로입니다. 이 과정에서 사람은 성장하게 됩니다. 사람이 성장하려면 겪음이 있어야 합니다. 익숙한 곳에서 사는 것은 겪음을 가져다줄 수 없습니다. 낯선 것과 만나 지금까지의 자신의 모습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기회를 가져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낯선 것을 만나면 그것이 곧 타자他者이지만 그 낯선 것들에게는 나 자신이 타자입니다. 이렇게 타자를 만나 스스로가 타자가 되는, 즉 타자화他者化 과정이 인간을 성장하게 하는 것입니다. - P7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치철학(60)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7GA5wVcL1Hyj


정치철학(57)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6mgpy9tzDun3


정치철학(56)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6mgojbhzDun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플라톤은 민주정에서 참주정으로 넘어가는 과정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설명한다. 앞선 정체 속에는 뒤따라 오는 정체의 씨앗이 들어 있다. 특히 민주정에서 참주정으로 이행할 때는 거의 구분이 되지 않는다. 차츰차츰 악화되는 단계를 밟으면서 진행되는 것이다. 물론 표면적으로는 민주정의 절정에 다다른 듯한 상태에서 그 절정에 취한 이들 중 상당수가 자유의 극대화, 특히 재산권의 극대화를 요구하게 되면서 그것에 영합한 부유한 선동가가 등장하고 순식간에 참주정으로 이행한 것처럼 보인다.



국악방송 문화시대

2023-03-07(화) 문화시대 * 이달의 문화시선 : <플라톤, 현실국가를 캐묻다> 1

https://www.podbbang.com/channels/1786347/episodes/24649665


<플라톤, 현실국가를 캐묻다> 2

https://www.podbbang.com/channels/1786347/episodes/24656277


<플라톤, 현실국가를 캐묻다>3

https://www.podbbang.com/channels/1786347/episodes/24661970


2023-03-28(화) 문화시대 * 이달의 문화시선 : <플라톤, 현실국가를 캐묻다> 4

https://www.podbbang.com/channels/1786347/episodes/24666692


대다수의 정치사상가들은 당대 공동체의 대다수 구성원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평등하게 추구할 수 있는 곳에서 살지 않았으므로 이들의 사상은 오늘날 민주공화국인 대한민국에 사는 사람들의 정치사상 고전이 되지 못한다. 반면에 플라톤의 <<국가>>는 우리와 비슷한 경험지평에서 생겨난 텍스트이다. - P3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