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왜 동물보다 잘났다고 착각할까 - 자신만이 우월하다고 믿는 인간을 향한 동물의 반론
장 프랑수아 마르미옹 지음, 김지현 옮김 / 북다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왜동물보다잘났다고착각할까_장프랑스아마르미옹 #북다
#자신만이우월하다고믿는인간을향한동물의반론

심리학자이자 인문과학 저널리스트이며 프랑스에서 '바보 삼부작'으로 프랑스 사회의 커다란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내 주위에는 왜 멍청이가 많을까(Psychologie de la connerie)』를 출발하여 '바보 삼부작'으로 프랑스 사회의 커다란 화제를 불러 일으켰다. 동물은 단순하다고만 생각하는데 웃음, 언어, 잔혹함, 즐거움 등 인간만의 것이 아니라니? 하면서 읽게 되었다. 자연과 동물을 사랑하지만 엄청나게 큰 관심을 갖고 애착하거나 몰두하지 않기에 다른사람보다 모르는 것들이 더 많다. 동물마다 고유의 생활방식이 있겠지만 인간과는 완전히 다른 식습관과 생활습관을 갖고 있기 때문에 내가 모르는 것들을 알게되었다.

인간이 동물에 대해 많은 것을 알고 있다고 착각하지만 그것은 인간의 자만심이다. 인간 중심주의로 인한 오해들을 날카롭게 비판하는 책이기도 하다. 인간의 편협한 시각에 불과하다. 과연 인간만이 머리를 써서 도구를 사용할까? 마르미옹은 동물들의 연구 사례를 통하여 동물들도 여러 복잡한 것들을 해결하는 능력이 있음을 시사한다.
인간에게 없는 감각을 가지고 있는 동물들의 인지능력은 감탄을 자아낸다. 매미는 소리를 들을 수 없다? 듣지 못한다? 그렇게 여름에 거리를 지나가다보면은 세상 시끄럽게 우는 매미는 정작 소리를 들을 수 없다니. 자신의 소리를 들었다면 저렇게 시끄럽게 울까. 감지할 수 있는 소리의 범위가 극히 제한적이다.

동물중에 제일 영험하고 신비로운 동물을 꼽으라면 돌고래를 꼽고싶다. 신체구조도 인간과 완전 다른데 교감을 한다는 것이 아주 먼 옛날부터 인간과의 교감이 학습이 된것인지 아니면 원래 돌고래가 호의적인 동물인지 궁금하기도 하다. 본래 돌고래는 호의적인 사회성 동물로서 협력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생존하는 사회적 동물이다. 예로 고대부터 어부들이 돌고래와 협력하여 어획을 하거나, 인간의 신호를 이해하고 반응하는 것은 학습과 경험의 산물이기도 하다. 동물원에서도 봤었고 바다에서는 상괭이를 본 적이 있는데 교감하면 어떤 기분일까 생각이 들기도. 너무 귀여워서 키우고 싶으면 어쩌지 이런 마음을 갖은적이 있었다. 동물과 세상을 함께 살아가는 것은 알지만 동물에 대해서 그렇게 큰 애정은 없는데 돌고래에 대한 사랑스러운 마음은 있다.

P.361 상상하는 힘은 우리 인간을 아주 독특한 동물로 만들었다.

동물에 관한 신화나 설화가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비슷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인간은 변화하는 자연환경 안에서 동물들을 관찰하여 생존에 필요한 지혜를 배워왔다. 하나의 동물을 예로 들자면 곰은 한국, 북미, 북유럽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신성한 존재로 인식되어왔다. 다 아는 단군신화와 곰이야기, 북미 원주민은 영적인 수호자로써, 북유럽은 곰이 전사로서 등장하는데 곰은 용맹과 불굴의 정신을 나타낸다. 일본은 곰을 신령으로 숭배한다. 동물의 다각적인 면을 보게되어 좋았고 동물들의 많은 표현이 있는것도 알게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