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놀이의 기적
박성찬 지음 / 라온북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술놀이의기적 #박성찬지음 #라온북 #자기주도성과내적동기를깨워라

프랑스식 놀이교육으로 자연에서 노는 아이로 키워보자. 프랑스 낭시 국립미술학교 출신 조각가가 알려주는 미술놀이의 모든 것. 삭막한 도시에서 자연과 숲의 이로움과 함께 미술놀이를 국내에서 이끌 수 있을까. 스스로하고 자기주도적인 아이로 키우고 싶으나 막상 우리 아이들은 떠먹여줘야 먹는 아이로 키우는 것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아이들의 크는 시간은 각자 다르다. 하지만 머릿속으로는 이해하지만 막상 우리 아이가 뒤쳐지는 것 같으면 아이에게 채근하기 일쑤이다. 갇혀있는 사고로 아이를 키우고 있다는 생각이 나를 지배할때쯤 육아서적이나 이렇게 주도적이게 아이가 할 수 있는 놀이는 무엇인가 알아보기도 한다.

획일화된 교육에서 당연히 나도 그렇게 자라왔기에 평균에 맞추어서 아이들이 자라기를 내 내면에는 바라고 있는 게 아닐까? 아이가 획일적으로 자라나지 않길 바란다면? 정서지능을 키워줘야 한다. 정서지능이란?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긍정적 시각으로 스스로 동기부여하며, 대처능력과 타인을 공감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내가 일했던 곳에 10대후반의 청소년이나 20대초 청년들도 있었는데 아직 사회생활 초기여서 그런지 대처능력이나 긍정적인 사고를 하는 친구는 세손가락에 꼽을정도였다. 정서지능이 발달되지 않아서일까. 사회성이 결여되어 그런것일까. 사회초년생이라
경험이 없어서일까 생각해보기도 했다.

어릴때에는 놀이터에 위험한 놀이기구가 그렇게 즐비한지 몰랐다. 그래서 그런지 무섭다고 느끼지도 못하고 올라갔다가 떨어지기도 했다. 그리고 무서움이 없었다. 놀이터를 나가면 부모님이 지키고 있거나 하지 않았기에 다치고 와도 놀다가 그런 줄 알고 그냥 지나가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는 위험하고 무섭다는 놀이기구는 놀이터에 없다. 그래서 그런지 나 어릴적보다 아이들의 체력도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다양한 놀이도 결여되어 있을뿐더러 주도적인 놀이가 현저히 적다는것이다.

나도 모르게 놀이터에서 위험한 것을 아이가 하면 통제했던 내가 아이에게 어떤 영향이었을까. 공간에서 아이들끼리 스스로 놀게하고 몇명이서 놀다가 지더라도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아이로 커가기를 바란다. 격렬한 놀이는 신체 제어 능력을 키운다. 국내에도 숲속체험놀이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있다. 잘 노는 아이가 잘큰다. 아이가 잘 크려면 잘 놀게 하는것은 맞으나 육아는 '껌'이라는 말은 동의할 수 없지만. 함께 공유하고 잘 놀아주어야 한다는 것은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다. 숲속미술놀이를 숲속에서 진행하기 어렵다면 바닷가에 모래놀이도 가능하겠다. 공간과 놀이 그리고 미술을 통해 자기주도적인 아이로 키워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