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박사 박주홍의 뇌졸중 이야기 - 한의학박사&의학박사가 집대성한 뇌질환 3부작의 완결판!
박주홍 지음 / 성안북스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뇌박사박주홍의뇌졸중이야기 #박주홍지음 #성안북스

뇌관련질환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가족력이 있기때문이다. 뇌졸중, 뇌경색, 뇌출혈 등으로 친가쪽의 친척과 조부모님의 이력으로 관심갖게 되었다. 차후를 예방하기 위해 건강한 뇌를 가지며 살려면 어떠한 생활습관과 음식을 먹어야 하는지 알아야한다. 전세계 인구 6명중 1명은 뇌졸중을 경험한다고 한다. 이렇게 흔한 질병일것이라는 생각은 전혀하지 못했다.

뇌졸중이 우리에게 보내는 신호로 무엇이 있을까? 뇌졸중=중풍의 자가진단을 해보았다. 28개의 자가진단중에 눈에 띄는 항목 몇가지가 보였다. 짠음식을 좋아한다, 운동을 안한다, 신경을 많이 쓴다, 몸 한쪽시 갑자기 저린 적이 있다, 갑자기 손 감각이 둔해진적이 있다 로 5개를 꼽았다. 50점이나 해당된다. 가끔 손이 저려와서 마비 비슷한 증상으로 한쪽 뇌가 저려올때가 있는데 이것도 뇌관련증상에 하나가 아닐까 생각이 들기도 한다. 건강한 뇌를 위해 어떤것을 해야할까 알아야할때이다.

건강한 식습관, 운동은 단연 필수이다. 뇌에 좋은 식품성분은 무엇이 있을까. <레시틴>은 기억력 강화에 필수적인 성분이기도 하다. 각종 혈관 질환 예방에 큰 도움을 준다. 대표 식품으로는 계란 노른자, 콩 가공류, 곡류 등이 있다. <베타카로틴>은 꾸준히 최소 2년은 섭취해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대표 식품으로는 당근, 고구마, 시금치, 민들레 잎이 있다. <마그네슘>은 주요 미네랄로 혈당과 인슐린 조절은 뇌졸중과 깊은 관련이 있다. 대표 식품으로는 견과류, 호박씨, 참깨, 시금치, 오징어, 굴, 옥수수, 팥, 참치, 멸치, 땅콩 등이 있다. 무엇이든 적당한 섭취를 해야 균형있는 식습관을 만들 수 있다.

피해야하는 식품을 소개할 때에 조금 충격을 줬던 것은 몸에 좋다고 생각하여 먹었던 글루텐식품이었다. 특히 빵을 좋아하는 빵수니인 나에게 글루텐식품의 설명은 천청벽력같은 소리였다고 해야할까? 뇌의 화학 작용에도 영향을 크게 미쳐서 신체나 정신적 피로를 불러오기도 한다. 글루텐은 위, 장에 완전히 분해되지 않고 소장에 남아 장 점막의 면역체계를 자극 또는 염증을 유발한다. 그리고 당분으로 천연당분과 첨가물이 될 수 있는데 과일은 즐겨먹지 않고 설탕이 듬뿍 들어간 음식을 좋아하는터라 조금 줄여야겠다고 생각했다.

건강한 생활습관을 영위해야만 건강한 몸과 정신으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식습관과 꾸준한 운동은 노화를 막을 순 없어도 늦출수는 있다. 간간히 번아웃과 스트레스위험도가 최고조일때에 나만의 스트레스관리로 회복탄력성으로 빠르게 극복된다고 생각한다. 아주 사소한 행복으로의 탐구로 현실의 고단함을 탈피하기도 한다. 긍정으로의 전환이 정신건강에 좋다. 소음인인 나에게 대표적인 운동으로는 걷기, 스트레칭, 맨손체조등이 있다. 나이가 들수록 가장 중요한 하체 근력을 키워야 한다.


좋았던 것은 한양약의 조화로운 소개로 다시금 나의 체질을 알게되었다. 나는 전형적인 소음인이었으나 출산 전 손발이 매우 차고 소화기능도 약했으나 출산 후 손발 차짐과 약한 소화기능도 좋아지게 된 케이스이다. 음식도 찬성질의 음식보다는 따뜻한 성질의 음식이 나와 잘 맞는다. 유독 여름에 음식을 먹을때에 조심해서 먹는 습관이 들기도 했다.

#규칙적인식습관과운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