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린, 조금 지쳤다 - 번아웃 심리학
박종석 지음 / 포르체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린조금지쳤다 #박종석지음 #포르체

번아웃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모든 에너지가 소모되어 무기력증이나 자기혐오, 직무거부 등에 빠지는 현상이다. 우울증의 초기증상인 번아웃은 슬럼프와는 의미상 크게 다르다. 슬럼프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던 나의 몸과 마음이 일시적으로 평소와 다르게 가능하지 않는 상태지만 번아웃은 만성적인 형태로 보인다. 자신을 돌보지않고 모든 기력을 다 쏟아낸 상태, 한마디로 조절하지 않은 만성 스트레스로 인해 몸과 마음이 고갈된 상태라고 한다.

저자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대학원을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을 인턴, 레지던트를 거쳐 서울대학교 본원 정신과 임상강사로 일했다. 현재는 구로 연세봄 정신건강의학과 원장으로 재직중이며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정신과 외래교수로 있다. 틈틈이 <정신의학신문>에 칼럼연재중이고 TVN <슬기로운의사생활>의 자문을 했다.

목차에서는 PART1. 번아웃 우린 지쳤다로 나에 대해 어떤지 알아보는 시간이라고 하면 PART2. 관계도 미니멀이 필요해, 사람과의 관계속에서 나를 지키는 방법을 제시해준다. PART3. 나의 슬기로운의사생활, 의사의 번아웃 상태를 자세히 면밀히 알려주고 있다. 그러면서 번아웃으로 힘들어하는 나의 한계를 인정하고 받아들여서 다시 일어서는 힘을 기르라고 말한다.

P.97 나를 불편하게 만드는 사람으로 인해 끊임없이 분노하고 자신의 감정에 몰두하다가 우울감에 압도되어서는 안된다. 부정적인 감정은 실제보다 더욱 증폭되는 경향이 있기에 상황을 더욱 나쁘게 만들 수 있다.

나는 그래서 매사에 부정적이거나 내 에너지 소모가 너무 크고 남을 헐뜯거나 비난하는데 에너지를 다 쏟는사람에게는 거리를 두게된다. 들으면서 같이 극대노로 스트레스를 받고 쌓이기 때문이다. 과도한 부담감도 번아웃의 원인이다. 감성소진이 심하면 별거 아닌것도 날카롭게 반응한다.

P.210 중요한 것은 자신에 대한 믿음과 애정을 멈추지 않는 것이다. 변화할 수 있다는 믿음속에 자신이 이해하는 과정을 반복하면, 그것이 곧 당신의 습관이 되고 자존감이 된다. 그렇게 스스로 자신을 돌봄으로써 우리는 힘든 삶도 헤쳐나갈 수 있다.

지나치게 생각에 빠지는것도 건강에 해롭다. 주의산만, 무기력, 짜증, 화와 같은 번아웃 증상은 모두 뇌가 지쳤다는 신호이다. 저자는 명상을 추천해주었는데 나는 묵상과 기도를 하니 마음이 차분해지고 집중려과 감정 조절능력이 향상되었다. 사람때문에 정서적으로 '번아웃'이 왔다면, 자신의 인격성향을 알고 그에 맞는 삶 전략을 세워서 일과 즐거운 삶의 균형을 찾자.

#워라밸 #삶의전략을찾자 #내려놓음 #명상 #쉼 #운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