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베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7
서머셋 모옴 지음, 황소연 옮김 / 민음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를 꾸준히 하다 보면 필자가 문과인지 이과인지가 얼추 구분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다른 리뷰에도 적었듯이 글에도 웜톤과 쿨톤이 있다는 말과 같은 뜻이다. 철저하게 문과 쪽 갬성인 나님은 이과형 사람의 글을 버거워하는 면이 있다. 이들에게는 소위 ‘낭만‘이 결여돼있는데, 쉽게 말하면 사람 냄새가 잘 나지 않는다는 말이다. 그도 그럴 것이 이과형들은 사실과 지식을 바탕으로 글을 쓰기 때문이며, 그렇기에 소설에서도 논문이나 기사 같은 퍽퍽함이 묻어 나와 독자들의(정확히는 나 같은 문과 타입의) 말문을 막아버릴 때도 많다. 뭐랄까, ‘그들만의 세계‘, ‘그들이 사는 세상‘이라는 말이 나오는 건 전부 이과형 작가들이었다. 그렇담 서머싯 몸은 어떨까? 내게는 절대 문과 쪽 사람으로는 안 보인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의 문장마다 냉기가 흐르고 있는데 풍자소설이라서 그런가 다들 눈치채지를 못하는 듯하다. 여튼 장르를 잘 고른 덕에 어렵지 않게 대중을 휘어잡았으니, 보면 볼수록 참 영리한 작가구나 싶다. 이에 모든 글쟁이들은 이같은 생태계 교란종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


이번 작품의 테마는 선입견의 새로고침과, 무가치의 재발견 정도가 되시겠다. 나이에 떠밀려 억지로 결혼한 키티는, 한 유부남과의 아슬아슬한 외도를 즐기는 중이다. 원체 말수가 적고 일 밖에 모르는 남편과 달리, 매력 뿜뿜 외도남은 모두가 인정하는 엄친아였다. 결국 외도를 눈치챈 남편은 그녀를 데리고 콜레라가 들끓는 지역에 자원봉사를 가게 된다. 자신을 붙잡지 않은 외도남에게 대실망을 하는 키티. 그렇다고 딱히 남편과 갈라선 자신을 받아줄 곳도 없어 말 그대로 진퇴양난이다. 뭐 여기까지는 심성이 곱지 못한 자의 받을 마땅한 형벌인가 보다 했는데, 슬슬 자기 객관화를 하더니 본인의 무가치함을 벗어던지는 게 아닌가. 키티는 지역 수녀원에서 버려진 아이들을 돌보며, 사랑을 받기만 하다가 사랑을 주는 쪽으로 변모하게 된다. 그리고 여전히 냉랭한 남편에게도 전에 없던 호감이 생겨났다. 그런데 사랑할 마음은 안 든단다. 헐?


난 지금껏 서머싯 몸을, 인물 설정은 훌륭하지만 스토리텔링은 아쉬운 작가로 보았었다. 그런데 <인생의 베일>은 그 반대의 인상을 남겼다. 인물보다 서사 중심의 작품이었고, 미친듯한 흡인력에다 압도적인 가독성까지 보여준다. 다만 현대에는 이와 비슷한 플롯이 많기 때문에, 예측 가능한 전개의 연속이어서 다음 장면이 막 궁금해지진 않는다는 게 단점이다. 또한 키티에 비해 입체감이 약한 캐릭터들도 아쉬운 건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몰아치는 내러티브가 단점을 모두 커버하여, 이 작가는 인물보다 서사 중심의 글이 더 낫다는 생각마저 들게 한다. 무엇보다도 <인생의 베일>에는 내가 줄곧 지적했던 무책임한 화자가 등장하지 않는다. 주인공이 직접 화제를 만들고 질문하기 때문에 독자가 접근하기도 쉽고 사유를 내 것으로 만들기에도 좋다. 서머싯 몸을 썩 좋게 보지 않았었는데 웬걸, 진짜 다시 보게 되네.


집 나갔던 양심을 되찾은 키티는 조심스레 남편과의 화해를 시도한다. 물론 씨알도 안 먹힌다. 그녀가 거듭난 것은 인정하지만 그것이 자신을 사랑한다는 의미는 아니었으니까. 워낙 말을 아끼는 타입인지라 남편의 진심은 솔직히 잘 모르겠다. 단지 키티보다 그녀를 사랑했던 자신을 더 경멸한다는 말만 남겼을 뿐이다. 자존심에 금이 가고도 키티를 끝까지 책임지는 그에게서, 가족들에게 시달리며 살아온 부친의 모습이 겹쳐졌다. 돈 벌어오는 기계 취급했던 아내와 딸들을 묵묵히 부양했던 아버지. 남편이자 아비로써 당연한 삶이라고만 생각했던 키티는, 눈앞의 남편을 보면서 그 당연한 의무가 얼마나 서러운 것인지를 깨닫는다. 사람들은 입이 마르도록 남편을 칭찬했고, 외도남의 추문을 떠들어댔다. 똥과 된장도 구분할 줄 몰랐던 키티의 오만과 편견. 지난날의 모습들을 회개해 보지만 이미 버스는 떠나가 버렸다. 남편도 콜레라에 감염되고 말았다.


키티의 개과천선 과정이 너무 스무스한 느낌도 든다. 유리멘탈에게 여러 가지 충격요법을 써서 불가능한 얘기도 아니겠다만. 심리학에서는 사람들이 자신을 잘 알기를 별로 원하지 않는다고 한다. 파고들수록 인간관계가 피곤해지기 때문이라는 이유에서였다. 그러나 인풋이 너무 줄어들면 시야가 좁아지고 편협한 사고에 갇혀버린다. 사람들은 자기가 보고 싶은 것만 보려 한다는 말도 있지 않은가. 기초교육을 받은 사람이라면 확증편향이 얼마나 위험한지 잘 알 것이다. 그러니 데카르트가 했던 말처럼 생각하는 존재로 살아가는 모두가 되시길 바라며 글을 마친다. 뿅.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24-02-22 12:2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하하하~~~ 이 통쾌한 리뷰는 뭔가요? 멋지군요. 이제 리뷰를 쓰실 때 뛰어가는 게 아니라 날으시는 단계에 가신 듯합니다. 축하드려요. 역쉬~ 많이 쓰면 쓸수록 글이 나아지는 건 확실한 모양입니다.
제가 서머싯 몸의 소설을 좋아하는 건 줄거리도 재미있게 잘 전개하지만 그것보다 생각할 거리를 주는 점입니다. 몸의 소설을 읽고 나면 단상을 쓸 글감을 얻곤 했어요. 제가 가장 많이 단상을 쓰게 해 준 작가가 아마 서머싯 몸일 거예요. 사색적인 문장이 많아 밑줄을 많이 긋게 되는, 저에겐 최고의 작가예요. 완독도 함께 축하드려요!!!

물감 2024-02-22 13:14   좋아요 0 | URL
생각거리가 많은 작품을 읽으면 날개 달린 듯한 글이 써지긴 합니다ㅋㅋㅋ 절대 형식적인 글은 쓰지 말자는 생각으로 쓰고 있습니다^^ 이제야 페크 님이 서머싯 몸을 좋아하는 이유를 대강 알겠어요. 그리고 저자의 사색들이 ‘당신은 어때?‘하고 묻는 느낌이 아니어서 전 그게 신선하다고 느껴집니다. 이제 <인간의 굴레에서>만 읽으면 장편은 끝입니다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