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인간
성석제 지음 / 창비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국내 문학을 연속 세 권이나 읽다니, 세상에 이런 일이. 이번에도 처음 만나는 작가의 작품이다. 요즘 한창 글쓰기 스킬업 중이어서 길게 써보려다 그냥 짧게 쓰련다. 다리 위에서 자살하려는 한 남자가 있다. 그가 생을 마감하려는 이유는 뭐였을까. 그는 육 남매 중에서 혼자 모자란 지능과 신체를 가지고 태어났다. 그래서 가족과 친구들에게 놀림거리와 애물단지가 되었으나 타고난 넉살로 그럭저럭 살았다. 산골 마을에서 농사지으며 가난 속에 살아온 이 집안의 육 남매 성장과정은 생략한다. 장남이 월남전에서 죽고, 아버지는 술주정뱅이가 되고, 작은누나는 연탄가스 사고로 정신장애를 입는 등 사는 게 이만큼 힘들다는 것을 증명하듯이 고난은 쉬지 않고 찾아와 괴롭혔다. 불행은 이게 끝이 아니다. 죽어라 돈 벌어서 동생들 대학비와 생활비에 전부 퍼주면서 오로지 가족만 생각했는데 회사가 망했다. 엄청난 빚쟁이가 되고 이렇게 만수네 가족들은 하나같이 엉망진창의 삶을 살아간다.


장르문학처럼 큰 이슈가 있는 건 아니고, 만수네 가족의 일대기를 보여주는 내용이다. 재미있는 건 만수가 주인공 같은데 만수 입장에서 쓴 글은 없다는 거다. 전부 가족, 동료, 친구들의 입장에서 쓴 내용뿐. 그래서 주인공이 무슨 생각으로 사는지 알 수 없는 게 아쉬웠다. 일단 한국 사회가 짜장면 10원 시절부터 근대화 시작까지 어떻게 흘러가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어떤 장면은 너무 상세해서 불편할 정도였다. 요즘 학생들이 한국을 ‘헬조선‘이라고 부르는데, 옛날부터 한국은 늘 헬조선이었던 것 같다. 우리가 잘 아는 단군 신화의 곰과 호랑이 일화를 보면, 쑥과 마늘로 100일 다이어트 미션에서 곰은 잘 참아 인간이 되었고, 호랑이는 이따구로 못 산다며 굴 밖으로 뛰쳐나갔다. 이 두 유형은 작품 속에서도 잘 나타나는 바 만수는 늘 곰이었고, 친구며, 가족이며, 동료들은 전부 호랑이였다. 곰 쪽이 늘 손해 보는 입장이었단 게 난센스인데, 안 맞는 사람들과 평생을 살아야 한다는 건 얼마나 고역인가. 신화 속 곰은 혜택이라도 있었지 만수는 그런 거 없다. 정직하게 살아봤자 모두 다 소용없다. 평생 술 담배해도 건강한 사람은 장수하는 거다. 그러니 억울하지 않으려면 어느 영화 속 대사처럼 곰 같은 여우로 살아야 되나 보다.


왕년의 스타 연예인이 토크쇼에 나와 과거의 썰을 풀면, 요즘은 ‘추억 팔이‘라며 그만 우려먹으라고 한다. 하물며 이런 6~70년대 배경의 서사물이 요즘 젊은 층에게 과연 얼마나 먹힐까. 삼촌들의 군대 얘기가 재밌는 건 나름 공감이 되기 때문인데, 이 책은 지금 30대만 해도 공감하기가 어렵다. 게다가 시점이 너무 자주 바뀌어 정신이 없었고, 끝까지 진지해서 교장선생님 훈화처럼 금방 지루해진다. 이 작품에 딱 맞는 표현이 있는데, 평생 일만 하다 늙어죽은 소를 닮은 책이다. 죽어라 일해봤자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소의 업적은, 주인공이 걸어간 헌신의 삶과 별반 차이가 없었다. 그래서 투명인간인가 싶다. 뭐 이런 희망이라곤 1그램도 없는 작품이 다 있을까. 생략해서 그렇지 이 책은 불행의 연속이어서 읽는 내내 괴롭다. 여튼 끝에서 처음 자살 장면으로 다시 돌아오는데, 서술자가 주인공이 갑자기 안 보인다며 너도 투명인간이냐고 한다. 아니, 그럼 투명인간의 뜻이 진짜 그 뜻이었어? 알고 보니 SF였던 거야 뭐야? 아니면 작가가 길을 잃은 건가? 아무리 좋게 봐주려고 해도 이건 납득이 안되잖아, 납득이... 당분간 국내 문학은 정지해야겠다. 짧게 쓰려 했는데 왜 이렇게 길어졌나 몰라.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패스파인더 2018-11-14 16: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성석제작가의 글은 언어유희로 유명하죠.. 워낙 예전부터 재담과 해학으로 유명한 작가라..저같이 올드한 사람들 취향엔 맞긴한데... ㅠ 저도 나이를 많이 먹었나봅니다. 성석제작가는 제가 20대때 무척이나 좋아했었는데.. 이런류의 이야기는 이제 젊은 사람들에게 안먹히나 봅니다.^^

물감 2018-11-14 17:43   좋아요 0 | URL
제 취향이 아닐뿐, 지금의 20대들이 다 저같진 않을거에요ㅎㅎ 올드감성을 좋아하는 사람은 많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