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취향을 팝니다 - 콘셉트부터 디자인, 서비스, 마케팅까지 취향 저격 ‘공간’ 브랜딩의 모든 것
이경미.정은아 지음 / 쌤앤파커스 / 2019년 7월
평점 :

콘셉트부터 디자인,서비스,마케팅까지
취향저격 '공간'브랜딩의 모든것!
공간 디자인이 단순히 인테리어만을 의미한다고 생각해 비싼 돈을 지불하고 유명한 인테리어 업체를 찾기도하죠.그러나 아무리 유명한 인테리어 업체라도 가게를 운영할 사람이 명확한 콘셉트나 가이드를 주지 않으면 끌리는 공간을 만들 수 없습니다.
자신만의 가게를 준비할때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공간이든 소비자들을 사로잡을 수 있는 자신만의 '취향'을 담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의 공간에는'취향'이 잘 담겨져 있나요? 만약, 부족한 것이 있다면 무엇을 어떻게 바꾸고, 채워야 할까요?
/프롤로그 中
.
인테리어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는 나에게는 이번 책이 흥미로운 주제였다.
공간디자인을 하려면 소비자의 동선, 시대의 흐름, 요즘 유행하는 요소 들을 알아야 한다. 상업인테리어 디자인에 흥미가 많았는데 나에게 개인적으로도 도움이 많이되는 책이 될거같다. 디자이너라는 직업은 이책에서 소개하는것처럼 클라이언트의 취향을 파악해, 전문적으로 분석하고 의뢰자의 생각을 끄집어내 디자인으로 표현해주는일을 하는데 공간디자인을 하는 디자이너에게도 공간마케팅을 하는 사람들도, 새로운 공간을 만들 가게주인에게도 도움이 많이 될거 같은 책이라고 느꼈다.
CHAPTER1>끌리는 공간은 이렇게 시작된다.
1.맥락이 있어야 콘셉트가 읽힌다.
2.모든 디테일에 의미를 담아라.
3.스태프의 애티튜드는 취향의완성
CHAPTER2>완전 내취향!인 공간은 이렇게 만들어진다.
1.오감으로 느끼는 경험을 설계한다.
2.다시 찾고 싶은 공간에는 티핑포인트가 있다.
3.취향에 공감하고, 경험과 교감할때 상품은 저절로 팔린다.
CHAPTER3>취향 저격의 공간을 만나다
1.잘붙인 이름 하나 열 디자인 안 부럽다
2.있는 그대로의 공간은 나만의 콘텐츠가 된다.
.
.
.
.
시장은 이미 포화상태이고, 상품과 서비스는 무한경쟁중입니다. 소비자들은 지갑을 쉽게 열지 않고, 심지어 '물욕이 없다'는 표현까지도 등장했습니다. '갖고 싶은 것이 없다.'는 말은 가게를 운영하는 사람들에게 사형선고나 다름없죠.
이런상황에서 우리가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소비자들이 공간에 '오고 싶도록'만드는 것입니다. 우리가 만든 공간에 오게 하고, 머무르게 하는것, 공간을 느끼게 하고, 기억에 남게 하고, 다시 찾게 하는 것이 가게를 운영하고 공간을 기획하는 사람들이 해야 할 일입니다. /프롤로그 中
.
.
.
.
공간의 콘셉트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번째로 판매와 전시등 기능만을 강조한 기능적 콘셉트,두번째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제일 많이 고민하는 디자인 콘셉트, 마지막으로 도시 재생 혹은 특별한 공간의 의미를 강조하는 업사이클링 콘셉트입니다. /P.27
.
.
.
이책에 소개된 공간들중에는 반은 내가 알고 있는 곳들이어서 신기했다.
일명 인스타그램 핫플레이스, 카페맛집이라고 해시태그를 타면 보이는
망원동의 카페'자판기', 카페'당도', 카페 '종이다방' 등의 사진들이 눈에 띄었고
합정에서 지나다니면서 한번쯤은 들어가 보고싶었던 서점'땡스북스',
코엑스에 처음 입점한 '삐에로쇼핑'이라는 잡화점느낌의 쇼핑공간,
강남에 위치한 전시관을 방불케하는 '젠틀몬스터', 등 은 직접 가본 곳들이었다.
내가 가본공간들이 유명한 이유는 나는 이공간들을 SNS로 먼저 접하고,SNS 사진들을 통해 흥미가 생겨서 가게 되었다. 몇년전만 해도 블로그 후기들로 맛집이 생기던 시절이 있었는데 요즈음에는 인스타그램의 사진만 가지고도 마케팅을 할수 있는 시대가 오는거같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소비자들은 일명 감성사진으로 인스타그램 피드를 예쁘게 꾸미고, 가게 주인들은 저절로 홍보효과를 가진다.
공간디자인이라는것을 끌리는 공간 ,취향의 공간만 제대로 파악하다면 쉽게 컨셉을 잡을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쉽지만은 않으니 도움을 얻을 수 있는 이책이 생겨난 것일 것이다. 책의 뒷부분에는 취향저격 체크리스트라는 제목으로 표가 그려져있다. 보이는 것들의 매장 디자인, 비주얼요소가있고, 보이지 않는 오감, 서비스의 항목의 내용의 질문들이 들어있다. 이 질문들에 답하면 원하는 취향을 가진 공간이 나오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