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른이 되면 괜찮을 줄 알았다 - 심리학, 어른의 안부를 묻다
김혜남.박종석 지음 / 포르체 / 201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내 마음을 읽는 치유의 심리학
어른이 되면 아프지 않을 줄 알았다.
어른이 되면 좀 더 단단해질 줄 알았다.
어른이 되면 상처받지 않을 줄 알았다.
.
.
.
이책은 정신분석 전문의 김혜남과 정신의학 전문의 박종석이 공동집필한 책이다.
살다보면 아주 사소한 일에도 우울해질 때가 있다. 문득 거울에 비친 내얼굴에 주름을 발견했을때, 친구가 서운한 말을 했을때, 첫눈 오는 날 만날 사람이 없을때 우리에게 우울이 찾아온다. 우울은 우리 삶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얼굴 중의 하나다.
일이 뜻대로 안될 때, 사람들 사이에서 상처를 받았을때, 자신의 한계를 느꼈을 때 등 우리는 삶의 순간순간 우울감을 경험한다. /본문 中
.
.
.
이책은 여러가지 우울감에 대해 다룬다.
우울증, 조울증, 상실과 애도, 공황장애, 우울성 인격, 번아웃증후군, 만성피로 증후군,현실부정, 강박증, 불안장애, 무기력감, 자해, 화병, 섭식장애,성공 후 우울증, 외로움등이 부제들이다.
.
.
책의 구성은 김혜남 작가와 박종석 작가의 글들이 번갈아가며 나온다.
회사에 늦었으니 죽어야 겠다는 입사5년차 직장인 진영씨의 이야기,
불행을 행복으로 분칠하는 여런 성수씨, 등 의 이야기를 예시로 들고,
그 해결책을 덧붙여 부제들을 풀어나간다.
.
.
.
우울증을 마음의 감기라고도 부르는데 이렇게 부르는것처럼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은 적어도 한번씩은 느낀 감정들일 것이라고 느꼈다.
그리고 우울이라는 감정이 개개인의 성향마다 다르게 다가오고 외적인 영향도 많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소극적이고 낯도 많이 가릴때는 조금만 실수해도 모든게 내탓으로 느껴졌다.
그래서 내자신을 미워하고 구박하고 싫어했다. 그래서 자주 우울하고 우울했다.
사실 나는 요즘도 우울하다. 나만의 걱정에 밤잠을 못이루고, 만나고 싶은 친구들이 있지만 선뜻 약속을 잡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먼저 찾아주는 친구들이 있어 고맙기도하다. 이렇게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모든사람들은 무엇이 되었든 이러한 감정을 느낄것같다. 누구에게는 먼지만한 걱정이, 나에게는 우주만한 걱정일수도 있는게 우리들의 삶이니까 이러한 감정들을 혼자 속으로 휘둘려 앓지말고 들여다봐야한다고 생각했다.
.
.
.
중간중간 <일요일 오후1시>라는 타이틀의 제목으로, 구성된 부분은
현대인들 대부분이 겨끈 가벼운 우울감에 대하여 김혜남과 박종석 작가님들의 조언을 들은 인터뷰를 재구성하 것이다. 이부분을 보면 정신의학 전문의 두분과 실제로 상담하는 기분이 들기도 한다.
원고중 K는 김혜남,P는 박종석,Q는 편집자이다.
.
.
.
출근하는 것이 끔찍하게 싫은날이 있다. 이불을 둘둘 감고 조금만 더, 조금만 더 하며 버티다 시계를 확인하곤 화들짝 놀라 출근 준비를 시작한다. 일주일에 두세 번은 찾아오는 불면증 때문에 밤새 잠을 설치고 새벽이 되어서야 겨우 눈을 붙인 것 같다.
몸이 피곤하니 만사가 귀찮고 친구나 가족들에게 괜히 예민해져서 짜증만 낸다.
한국인의 90%는 주로 월요일 아침에 이러한 증상을 경험한다./p.73
.
.
.
가장 가까이에 있는부모든 상처를 주었던 친구든 나와 같은 의사든, 그 누구든 단 하명만이라도 아이의 손을 꼭 붙잡고"많이 힘들지?네 마음 다알아.언제나 널 응원하고 널 사랑해."라고 말해준다면 분명 아이는 다시 건강한 마음을 퇴찾을 수 있으리라 믿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동호 스스로가 자신을 더 많이 사랑할 수 있기를 바랐다. 언젠가는'세상의 모든 아름답고 귀한 꽃은 흔들리며 가지를 세우고 꽃을 피운단다. 네가 좀 더 세게, 아프게 흔들리는 것은 네가 그만큼 더 귀하고 아름다운 꽃을 피우려고 그런거란다"라던 내말에 동호가 고개를 끄덕이며 환하게 웃어주리라 기대해본다./p.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