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직지 1 - 아모르 마네트
김진명 지음 / 쌤앤파커스 / 2019년 8월
평점 :

직지: 세계 최고의 금속 활자 인쇄본
“금속활자는 한국이 세계 최초로 발명하고 사용했지만, 인류 문화사에 영향력을 미친 것은 독일의 금속활자이다.” 이 말은 미국의 부통령이었던 고어(Gore)가 1997년 베를린에서 열린 G7 회담서 말한 내용입니다. 이 발언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금속활자를 처음으로 발명했다는 사실을 국사 시간에 배워 잘 알고 있을 겁니다. [직지]가 바로 현재 세계에 남아 있는 금속활자 인쇄본 가운데 가장 오래된 책이지요.
[네이버 지식백과] 직지 -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 인쇄본 (위대한 문화유산, 최준식)
.
.
.
"별별 시체 다 봐왔소.찔린 거,썰린 거,토막 친거, 태운거, 터져나간 거,별 희한뻑적지근한 거 다 봤지만 요런 건 보다 보다 첨이지라."
... "찔리고 잘렸는디 희한한 게 하나 더 있구마." "희한한 거라면?" "빨렸소."/p.09
직지와 한글, 구텐베리크로 이어지는 중세의 미스터리를 밝혀낸김진명 신작.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가 지식혁명의 열매라면, 직지는 그 씨앗이다!
김진명의 장편소설 <직지>는 역사적 사실에 작가의 상상력은 입힌 역사픽션으로 김진명 작가의 장기가 유감없이 발휘된 역작이다. 이 소설은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보다 78년 이상 앞선 직지의 주조술이 중세유럽에 전해지게 되는 놀라운 비밀을 긴박하게 추적한다.
-
-
-
-
-
서울의 평온한 주택가에서 경악할 만한 엽기 살인사건이 벌어진다.
귀가잘려있었고 흉곽이 함몰되어 있었으며 귓불에서 약 3센티미터 아래 목부분에 네개의 구멍이 나있었고, 그 구멍들의 가장자리에는 시커멓게 피가 엉겨 붙어 있었다.
사회부 기자 생활을 시작하고 나서 살인현장이라면 일부러라도 죽자고 쫓아다닌 기연이라는 기자, 기연은 그동안 다녀본 살인현장중에서도 잔혹하고 엽기 끝판왕인 이곳의 살인사건 현장에 오게된다. 그리고 중세시대에 쓰던 철창으로 흉곽이 관통상 당하고 드라큘라에게 당한 듯 목에 송곳니 자국이 선명한 시신. 피해자는 서울대에서 라틴어를 가르치다 퇴임한 전형우 교수이다. 그리고 타살 당하기 몇주전 전형우가 교수가 시내운전도 질색하는 그가 청주까지 운전해 가서 만난 서원대학교 김정진교수. 이렇게 3명의 등장인물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그는 타살직전 김정진교수를 무슨이유로 만나러 청주까지 갔을까.
기연은 서재외엔 집밖을 잘 나가지 않던 전교수가 금속활자인'직지'에 대한 연구로 만나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게된다. 그리고 직지에 관한 연구와 관련된 중세교황의 편지가 있다는 것도 김교수를 통해알게되고 살해된 전교수가 김정연교수에게 중세교황의 편지를 해석해달라고 했던 것이 직지가 고려에서 유럽까지 가게된 계기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되고 경찰들보다 먼저 사건에 대해 파헤치게된다. 그래서 라틴어를 전공했던 교수가 읽은 중세교황의 편지를 부정적인 내용이라고 해석한 교수를 시기하고 미워하던 직지연구교수들의 직지축제에도 가게된다.
-
-
-
"누군가 전 교수님의 그 당시 발표를 아프게 받아들이거나 못마땅하게 받아들였다면 그게 바로 용의점이에요." /p.062
-
-
-
직지연구가들을 만나 살인사건과의 연관성을 알아보려는 기연.
그리고 직지에 대해 전교수에 대해 의문을 들으려고 하면 오해할수 밖에 없이 행동하는 김교수.
-
-
-
순간 기연은 약간 헷갈리는 기분이 들었다. 어떠한 살해동기도 찾아지지 않았던 전 교수 주변에서 처음으로 범행동기가 나타나 것이었다. 기대에 들떠 편지의 해석을 맡겼을 많은 사람들, 그러나 애초의 바람과는 동떨어진 결과를 하나 하나 내놓는 전교수 .이것 이상 확실한 동기가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p.58
"전교수님은 이편지에 민감한 직지 연구자들, 가톨릭계와 역사학계의 주요 인사들을 기자회견 하듯 불러놓고 자신이 해독한 편지를 기반으로 코럼은 결코 고려가 될 수 없다는 주장을 펼쳤어요. 직지 연구자들 중 그때 분노한 분들이 많았을거에요./p.59
-
-
-
이렇게 살인 선상의 용의자에 오른 50명의 직지 연구자와 외국의 교수들, 직지와 중세교황, 교황의편지 ,구텐베르크 의 키워드를 따라가며 미스테리한 살인사건에 대해 조사하던 기연은 외국 교수에게 목숨을 위협도 받게되는데....
직지1에서는 전교수의 살인사건에 숨겨진 직지의 그리고 교황의 비밀에 대해 추적해 나간다면 직지2에서는 살인사건의 동기가 직지의 어떠한 이유가 관련되어 있는지 밝혀질까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