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릿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
윌리엄 세익스피어 지음, 최종철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라는 대사로 너무나 유명한 세익스피어의 햄릿은 그의 작품중에서도 4대비극으로서 우리에게 정말 유명하다. 운명은 그에게 아니 정확히 말하면 유령은 자신에게 자신이 진정으로 복수해야할 대상을 알려줌으로서 비극에대처하는 햄릿의 모습을 보여준다. 주어진 운명에게 우유부단하게 대처하는 햄릿의 모습이라든가 연인과의 관계에서 엉클어지는 모습등 비긋을 향한 모든 단계는 계획적으로 착착 이루어진다. 이작품의 매끄러운 연관성은 천재가 얼마나 구성을 잘할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미오와 줄리엣 - 전예원세계문학선 302, 셰익스피어전집 2 셰익스피어 전집 337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신정옥 옮김 / 전예원 / 198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로미오와 줄리엣>은 세익스피어의 4대희곡중 하나이다. 그의 작품은 천재가 만들어낸 희곡임을 잘 나타내고 있다. 희곡을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그의 작품을 읽고있다보면 정말 이런 대사가 여기에 나올수밖에 없겠구나 하는 생각이 드는것이 한두번이 아니다. 연극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은 이책을 읽어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세익스피어의 천재성을 느껴보고 그런 천재의 작품을 자신이 연극해볼수 있다는 것을 안다는 것이 얼마나 행복인가.

로미오와 줄리엣의 비극은 두 사람간의 정보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일어났다는 현대적 생각을 하게되면 역시나 인간사에서 서로의 생각을 아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 그리고 서로를 사랑함이 얼마나 힘든지를 알게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주목할만한 일본영화 100
전운혁 지음 / 삼진기획 / 2000년 12월
평점 :
품절


원래 작가의 주관적이 내용이 나올수밖에 없지만 과연 한국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일본 영화를 얼마나 많이 볼수 있는지 의문이다. 100작품이라면 최소한 작가가 1000작품은 보고 그중에서 10분의 1을 뽑아야 돼지 않을까. 그러나 이작가를 보건데 아마도 가정이지만 500작품도 보지 못했을껏이다. 좋다는 작품을 보고 보니 좋아서 100작품을 그냥 쓴것같은 느낌이 강하다.왜냐하면 대외적으로 국내에서 평가가 되고 있는 이와이 순지 같은 사람의 작품이 여러작품이 실려있는 반면 그이외 다른 작가들의 작품을 보면 빈곤한 현상을 보면 잘 알수 있다. 이와이 순지가 러브레터로 국내에 유명하긴 하지만 그는 어디까지나 신진 영상작가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암흑 제국의 패리어드 1
이수영 지음 / 황금가지 / 1999년 11월
평점 :
품절


귀환병 이야기의 후속작이다. 그래서 귀환병이야기를 보고 나서 읽으면 훨씬 더 재미있다. 귀환병 이야기의 주인공이 드디어 빨간용과 결혼해서 애를 낳았다. 패리어드란 이 빨간머리 인간은 반은 용이고 반은 사람이어서인지 성이 정해지지 않았다.그런데 아버지의 일방적인 교육으로 여자로 성장해간다. 그런 와중에 암흑제국의 여성을 사랑하게 됨으로서 남성으로 변한다. 이작품의 주요 매력 포인트는 자신의 성 정체성이다. 성이 묘하게 변형되어서 작품중에 나오는 여러가지 사랑.행동등에 미묘한 트러불을 일으키는 작가의 능력이 대단하다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귀환병 이야기 1
이수영 지음 / 황금가지 / 1998년 12월
평점 :
절판


이 이야기는 매우 재미있다. 이수영이란 작가자체가 스토리가 일관되게 통쾌한 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귀환병의 주인공은 여자관계에 있어서 독특하다. 자신의 칼에 깃들어있는 용과 사랑에 빠져있기 때문이다. 붉은 머리의 그녀(?)는 유한한 목숨을 가진 주인공에게 일말의 동정을 가진것이 불찰이 되어 나중에 애까지 낳아주게 된다. 주인공의 시원한 모습이나 행동을 보면 귀환병들이 어떤 특수한 환경에서 죽었다 살아나옴으로서 보통사람과는 다른 능력을 가졌음을 매우 잘 이용했음을 알수있다. 환타지 문학에서 새롭지는 않지만 독특한 이수영의 세계를 느껴볼수 있는 매우 좋은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