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루스란 傳記 1 - 불타는 왕도 아루스란 전기 1
다나카 요시키 지음, 윤덕주 옮김 / 서울문화사 / 1999년 10월
평점 :
절판


다나카 요시키는 은하영웅전설이 국내에 공식적으로 출판되지 않았을때에도 잠정적인 집계로 백만명의 독자를 가지고 있는 일본인 작가이다. 그의 작품은 일단 재미있다. 이 작품의 주인공 아루스란또한 주위에 재미있는 인물들로 뭉쳐있다. 이전의 작품과는 달리 주인공 자체보단 주변인물들의 성격창조에 더 신경을 쓴듯하다는 생각을 한다. 그의 작품은 대부분 애니메이션화 되었는데 이 작품또한 애니메이션화 되었다. 이 작품을 읽어보고 비교해보는 것도 재미있는 독서가 될껏이다. 아루스란 삽화를 해준사람도 작가만큼 유명한 아마노 요시타카다. 파이날 환타지 시리즈로 유명한 아마노 요시타카가 자신의 그림을 삽화로 그려줄 만큼 유명한 작가라는 것이다. 다나카 요시키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기적인 유전자
리처드 도킨스 지음 / 두산동아 / 1992년 2월
평점 :
절판


이기적인 유전자는 이쪽 방면에선 고전이 된 책이다. 그리고 딱딱하지 않은 책이다. 동물들의 생태를 예로 들면서 동물들이 왜 그런 행동으로 생존을 해나가는 가를 유전자라는 이기적인 생명체(?)를 존속시키기위한 행동이라는 한가지 기본을 바탕으로 충실하고 상당히 충격적으로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고 있다.

새들이 위험이 닥쳤을때 서로에게 소리를 내서 알려주는 것이 다른 새들에게 위험을 알려 도망가게 해주려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살기위해선 소리를 내는 것이 오히려 확률이 높아서라는 설명이나 모든 이야기를 인간의 의지나 생각을 배제하고 유전자에의해 이루어지고 있다고 말하는 것은 다소 억측에 가깝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나 어느정도 천재들의 사고가 고집불통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읽는다면 꽤나 다양한 사고를 가질수 있구나 하는 것을 알게될수 있는 책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본어시험 JPT 필수단어 3000
손숙희 / 시사일본어사 / 199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일본어에 관한 여러가지 책들을 섭렵했다. 일어일문학과를 군 전역후 복학하기 전까지 공부나 해볼까 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을때 어느 분의 추천으로 구입하게 된 책이다. 일단 단어를 공부하는 방법은 굉장히 편하게 되어있다. 단어를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들을 한곳에 모아놓아서 같이 읽고 찾기 편하고 jpt를 위해 모아놓은 들이라서 인지 왠지 시험대비도 하는 듯해서 안심(?)이 되기도 한 책이다.회화 위주의 공부를 좋아하는 편이지만 단어 실력을 늘리기위해 무언가 마땅히 찾는 것이 없다면 이 책은 뜻하지 않은 기쁨을 선사해줄껏이라고 감히 생각한다.

1분중 0분께서 이 리뷰를 추천하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나님은 릴리스를 살해했다
신원선 지음 / 예니 / 199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 자체가 상당히 센세이널해서 읽어보게 되었는데 신원선의 이 창작 희곡집은 상당히 재미있다. 생각보다 짧은 단편들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은 작가의 제기발랄함과 구태의연함이 아주 자연스레 융합되어있는 괜찮은 책이다. 유태인들의 내가 잘모르는 신화에 하나님은 이브를 만들기전 릴리스를 만들어 아담과 살게 했다는 이야기가 있다고 한다. 그것을 모티브로 쓴 이 책의 한 단편은 지극히 단순하다.

연극 세트로서 무대에 마련되는 것도 거의 없으며 등장인물도, 네명으로 구성되어 가난한 연극단들이 구성하기에 딱 알맞은 희곡이다. 그런 장점이 있는 반면에 필자 같이 약간은 비뚤어진 사람은 이미 다 알고 있는 이야기를 굳이 연극무대에게 그 희곡을 표현하는 것을 보고 싶을까 의문시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국의 신화 1 - 제1부
이현세 지음 / 조은세상(북두) / 2001년 7월
평점 :
절판


그것을 알려준 그리고 만화라는 매체가 얼마나 잘못된 선입견에 쌓여서 이루어져 있는지를 잘 알려주는 작품이 이 이현세의 천국의 신화다. 그가 애초에 시작할 당시 우리나라의 신화부터 우리의 역사를 100 여권에 달하는 책으로 만들겠다는 야망을 가지고 시작한 이책이 청소년용이 따로 나오고 있으면서도 청소년에게 해악을 준다는 이유로 작가를 재판에 세움으로서 작가에게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압력을 가한 전근대적인 역사를 우리는 보았다. 그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대중 만화가다.

그런 그가 이 정도의 대우를 받는 다는게 너무나 어처구니가 없다. 요즘 프랑스의 예술 작풍이라는 작품들이 계속해서 들어오고 있는데 그들의 작품은 얼마나 고상하다고 생각하는지 한번 물어보고 싶다. 그들또한 주제는 성이며 폭력이다. 그런 것들을 다루는데 작가의 생각이 다르게 표현됨으로서 우리 인생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우리는 왜 잊어려고 하는지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