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러셀 서양철학사 (양장)
버트런드 러셀 지음, 서상복 옮김 / 을유문화사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나도 서평을 쓰고 싶다. 석 달에 한 번이라도 꼭 좋은 책, 나쁜 책, 이상한 책, 그러니까 놈놈놈을 써 보려고 생각했던 적도 있다. 그러지 못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지지 않으면 쓰질 못한다. 게다가 요즘은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태를 아예 거부하고 있으니......
그런 못된 습관이 대학시절에 시작되었다. 당시에는 지지리도 가난해서 쌀 한 톨, 연탄 한 장이 없어서 굶거나 냉방에서 살았다. 우연한 기회에 현상금이 걸린 논문을 쓰고 상금을 받았다.
그때부터 글로 먹고 살았다. 글로 먹고 살다 보니 직업이 되고 직업이 되고 보니 놀 때는 하지 않는 일이 되었다. 다들 그러지 않는가? 주방장이 직업인 사람은 집에서 음식 만드는 일을 잘 안 하는 것으로 안다.
그래도 가끔 외압이 있으면 쓴다. 2014년이었을 것이다. 지금도 내가 매우 좋아하는 책 가운데 하나인 ≪책의 탄생≫(돌베개)이 출간되었을 때다. 경향신문사에서 급하게 서평자를 찾았던 모양이다. 780쪽이나 되는 책이지만 신문의 속성상 시간을 많이 줄 수가 없다. 나는 사흘 만에 읽고 서평을 썼다.
서평에 대한 평가는 좋았다. ^_^ 그 서평 뒤에 연재를 시작했으니. 환경책큰잔치에서 책소개를 위해 썼다. 사실 이런 종류의 글은 서평이라기보다는 리뷰라고 해야 맞다.

두 번째 이유는 내가 책을 읽는 방식 때문일 것이다. 나는 매우 실용적인 독서를 한다. 에이, 말도 안 돼. 이러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특히 내 제자와 친구들은. 그런데 사실 그렇다. 공부에 도움이 안 되는 책은 재미가 없어서 읽어내질 못한다.
예를 들어 보라면 ≪러셀 서양철학사≫나,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또는 히친스의 ≪논쟁≫이나 ≪신은 위대하지 않다≫ 같은 책이다. 이런 종류의 책은 깊은 사색의 결과를 바탕으로 의미있는 질문을 던진다.
나는 기본적으로 책에 담긴 지식에는 별 관심이 없다. 지식은 생각보다 자주 변하는 것이어서 깊이 새길 만한 것이 못된다. 또는 백과사전을 뒤지면 쉽게 구할 수 있는 것들이다. 지식은 어떤 상황에 대한 질문과 판단을 위한 ‘일시적인’ 참고 자료이다.
좋은 책은 좋은 질문을 담고 있다. 지금 이 시점에서 왜 그런 질문을 할 필요가 있으며, 그 질문에 대한 하나의 답을 찾아내는 과정을 보여준다. 공감이 가기도 하고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그러니 본문을 죽죽 읽어가질 못한다.
읽다가 생각하면서 하루를 보내기도 하고, 다른 책에서 다른 의견을 찾아 참고하기도 한다. 한 권을 다 읽는 데 적어도 한 달은 걸린다. 수십 권의 다른 책과 인터넷 검색, 논문을 참조한다.
세 번째 이유는 내 상황 때문이다. 책에 따라 다르겠지만 서평을 제대로 쓴다면 적어도 200자 원고지 매수로 삼십 매에서 오십 매 정도는 써야 한다. 현실적으로 그렇게 긴 서평이라면 내 저작물이 아니면 쓰일 데가 없다. 내가 써야 할 책이 많으니 당장은 서평집을 쓰게 되질 않는다.
아, 물론 삼십 매에서 오십 매라는 것은 최근에 나온 대니엘 대닛의 ≪직관펌프≫ 같은 책에 해당된다. 이 책을 조금 참고해본 적이 있는데 할 말이 많았다. 바빠서 그 말을 다 못하고 있을 뿐이다.
사실 원고지 십 매도 안 되는 서평은 정크 푸드 같은 것이다. 제대로 된 음식이라고 말할 수 없다. 언론에서 책에 대한 공간을 그 정도밖에 내줄 수 없는 현실이 안타까울 뿐이다. 물론 모든 책이 다 삼십 매나 오십 매의 서평에 적당한 것은 아니다. 아주 짧아도 되는 책이라면 그 책도 정크푸드여서 그럴 것이다.
사족 같지만 심각한 오해가 있을 듯해서 달지 않을 수 없다. 짧은 서평도 아주 멋들어지게 잘 쓴 것도 많다. 뛰어난 서평가들은 그런 솜씨를 보여준다. 나는 그들의 그런 재능이 늘 부럽다. 하느님도 무심하시지. 나에게도 그런 재능을 주시지 않고. 자주 그런 한탄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