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상이 천하에 내려 깃든 석굴암 - 마음으로 보는 우리 문화 02
신영훈 지음, 김대벽 사진 / 조선일보사 / 2003년 10월
평점 :
품절


석굴암 본존불상의 당대 이미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먼저 최초로 탄생되는 불상의 이미지를 추구하고 있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측면에서 불교가 어떻게 우리에게 전해졌는지 알 수 있다. 불교가 전파되는 길을 따라서 등장하는 수많은 불상 가운데 순수한 이미지 외에 그 당시의 현실적인 분위기를 따를 수밖에 없었던 비순수적인 이미지이기도 하다. 즉, 정치·사회적인 이미지가 불상에 투영되었다는 것이다.
불상조각사의 측면에서 볼 때, 불상의 탄생은 분명 고대 인도의 간다라 또는 마투라 지역을 필두로 대승불교의 전파와 관련있다. 소승과는 달리 '이타'를 몸소 실천하는 '보살'이라는 존재가 주인공인 것이다. 하지만 불교의 교조인 석가세존 및 그와 관련된 내용들이 우선적으로 표현되었다. 아마도 그것은 당시 대승불교도들이 무엇보다도 세존에 대한 인간적 향수를 느꼈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무불상시대에 상징으로써 하나의 대상이 필요하기 때문에 불상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인간의 표현이었으며, 우리나라에게 점차적으로 다가 왔을 때는 불과 보살에 대한 동일한 인식으로 각인되었되었다. 또한 석굴의 부처는 황제에 버금가는 대상이었다. 이 책은 석굴암이라는 인도에서 시작한 석굴사원의 최종 결정체를 다루고 있다. 석굴사원은 인도에서 시작되어 중국을 통해 우리에게 전해졌으며, 석굴암의 본존불상은 운강석굴의 불상 크기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당시에 조성되던 불상의 규모로 보면 대단한 것이다. 그리고, 운강석굴을 포함한 대부분의 중국석굴은 자연의 암벽을 이용한 석굴인데 비해 석굴암의 그것은 화강암 석재를 이용해서 만든 인공석굴이다. 또한 운강을 비롯한 중국의 석굴과 석굴암과는 크기 면에서 비교가 안된다. 한편 저자는 이책에서 석굴암(석불사)를 보수공사하면서, 공사에 얽힌 일담과 개인적인 연구성과들을 불상, 주변 조각, 상징등을 열거하면서 글을 나열하고 있다. 하지만, 석굴암의 일면만 언급하고 있고 다른 석굴사원과의 비교가 겉들여 졌으면 하는 생각도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명찰
한국문연 편집부 엮음 / 한국문원 / 1996년 5월
평점 :
절판


사찰을 관광이나 하는 정도의 장소로만 생각해 오던 기존의 인식을 불식시키면서 한국의 정신문화 창달에 깊이 관여한 명찰 50곳을 소개하고 있다. 월인석보판 목 46매를 비롯, 250매의 경판이 보존되어 있는 계룡산 갑사, 임진왜란 때 전화를 입지 않아 건축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남아 있는 상왕산 개심사, 고운 최치원이 머물렀던 등은산 고운사 등 평범한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교양과 견문을 넓힐 수 있는 수준으로 집필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카르트의 조선미술사
안드레 에카르트 지음, 권영필 옮김 / 열화당 / 200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카르트는 일제강점기인 1909년부터 이십년 동안 한국에 머물면서 학문활동을 했고, 누구보다도 한국을 사랑했던 지한파인사였다. 그러나 그는 조선미술사집필에서 다소 채워지지 못한 정보가 있기는 하지만, 한국미술에 고전성이 내재해 있음을 지적한 최초의 학자였다. 예를 들어 조선의 건축을 과감한 추진력, 고전적인 선의 움직임, 단순하고 겸허한 형식언어, 그리스 미술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정적과 절도 등이 조선미술의 특질로 제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언급되고 있는 소박성은 소극적이고, 낮은 레벨의 문화적 소양이 아닌 하나의 예술적 특질로서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책에서 중국과 일본과는 다른 너무 판이한 역사적 인식으로 바라보고 있어서 이러한 역사적 소개가 일본식민주의 시대에 공통적으로 우리에게 각인되었던 사실이라는 점이 놀라웠다. 하지만, 그의 조선건축에 대한 평가는 냉정하며, 조선의 특징이 하나의 예술적 시대사조로 보았다는 점에서 일본식민주의자들의 평가와는 사뭇다르다.
  특히, 그는 조선의 궁전건축은 그 당시의 우리의 마지막 조선의 건축가(최원창, 김인식)들의 모습을 다루고 있으며, 조선의 20년대 건축과 예술정신을 풍부한 사진과 도판을 통해서 증명해 보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 미의 재발견 5
강우방·신용철 지음 / 솔출판사 / 2003년 7월
평점 :
품절


불교미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탑이다. 예배대상인 불상도 있고, 그것을 설명하거나 장엄하게 만들어 주는 불화도 있지만, 본래의 뜻은 탑에 응축되어 있다. 원래 탑은 석가모니의 유골을 모신 무덤이었다. 그러나 그의 위대한 정신이 널리 전파되면서 무덤이 허물어지지 않도록 견고히 벽돌로 보강하고 성역을 표시하는 난순과 나순사방에 낸 문에 석가모니와 관련된 여러 이야기를 회화처럼 조각하여 석가모니의 공덕을 표현하고자 하는 수단이었다. 또한 탑의 표면에 사방불상, 보살상, 금강역사상, 사천왕상, 팔부중상, 십이지상 등을 다양하게 결함시켜 조각함으로서 불국토를 표현하고 자 했다. 탑이 세워진 후에는 탑안에 모셔진 사리를 경배하기 위해 탑돌이 의식을 행한다. 탑돌이는 부처의 공덕을 노래하던 인도의 의식에서 유래되었다. 이러한 탑돌이는 4월 초파일 민속놀이로 변모 발전되었던 것은 불교신앙이 우리의 민간신앙과 결속되어 있음을 의미하기도 하다.
따라서, 이 책은 탑의 기원과 우리나라 가람과 탑형식의 특징이 간략하게 소개되고 있으며, 탑에 대한 사진과 몇몇 탑에는 도면이 들어 있다. 그러나, 사진과 도면에 대한 정성은 내용에 비해서는 실망된 감이 없지않다. 기존의 다른 저술서에 비해서 깔끔한 디자인과 탑에 대한 쉬운 해설이 머리속에서 쉽게 정리되고 이해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상당한 점수를 주고 싶다. 마지막으로 탑에 대한 전반적인 비레특성과 치수들이 나온 도면들에 대한 전반적인 해설 있었으면 어떤가 하는 아쉬운 생각도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명찰순례 1
최완수 지음 / 대원사 / 1994년 1월
평점 :
품절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와 더불어, 간송미술관 최완수선생의 명찰순례는 우리의 눈과 감각을 인도하는 좋은 안내자가 있다면 답사의 효과는 극대화된다.
 우리 것에 대한 알기, 우리의 모습을 다시보고자 하는 욕구, 사찰건축을 통한 우리들의 모습을 다시보고자 한다면, 명찰순례를 보기 바란다. 이 책은 88년부터 92년까지 5년간 월간 조선에 연재되었던 것을 묶은 것으로, 송광사, 전등사, 통도사, 수덕사, 봉은사, 부석사, 쌍봉사,  객사, 무위사 등 56개의 사찰들의 형성배경과 그에 대한 역사적 고증, 자연환경, 그 사찰이 갖고 있는 사료들과 건축적 의미 및 변화 등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우리의 사찰을 일목요연하게 자신의 경험을 서술되고 있다. 각 사찰이 갖고 있는 대웅전, 각종 누각 및 루, 비문 등을 비교해서 읽어보는 것도 묘미라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각 사찰들을 여행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도 유익할 것으로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