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자형 도시의 발전과 방향(Poar 2003 08)

1950년대 냉전의 시대는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도시계획이 확연하게 구분되었다. 그러나, 그들이 추구하는 도시형태는 비록 사상이나 이상의 차이로 인해 도시 내부에서 만들어지는 구성물은 다를지 모르지만 도시형태는 별다른 차별성이 보이고 있지 않으며 모두 격자형 패턴을 고수하였다. 먼저, 사회주의 국가에서 농촌과 도시를 계획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골격은 소생활권(자족적 생활공간)을 기본으로 주택, 식당, 위락, 탁아소, 유치원, 학교, 의료시설, 판매시설 및 기타서비스 기능을 집합시키고 공동집단생활을 원칙으로 농장과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주거와의 사이에 완충녹지대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교육시설의 경우에 행정시설, 병원시설 등과 근접시켜서 배치하고 있는데, 이것은 교육과 노동이 병행하여야 한다는 엥겔스의 원칙에 기초하고 있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1900년대 영국에서 제시된 버킹햄의 빅토리아타운계획과 하워드의 전원도시계획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마르크스, 엥겔스, 밀리우틴 등의 이론에 부합되어서 가족들의 집단화, 공동화를 중심으로 계획하고자 했다는 점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자본주의 국가들은 보편적으로 토지이용계획에 의거한 용도지정을 통해서 토지의 가치와 건축밀도가 결정된다. 그러나, 격자형 구조가 균등하게 슈퍼블럭(약 1mile)을 구획해서 생활권을 구분시키는 것은 사회주의의 도시계획개념과 대단히 유사하다. 사회주의 도시계획방식인 신주거단위(NUS, New Unit of Settlement)와 비교해보면 이들은 직주 근접 원칙을 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거주지역은 그들 주위에 있는 녹지와 커뮤니티센터와 동일한 거리상에 배치하고 있다. 이러한 거리개념은 인간행태실험을 통해서 검증된 평균시간대에 맞춰 규정된 것이었으며, 이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그들이 속한 커뮤니티, 커뮤니티와 또 다른 커뮤니티간에 가치를 균등하게 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이러한 배치개념은 과거 1800년대 제시된 이상도시이론들을 따르고 있었다. 이에 반해서, 자본주의도시들은 용도에 따라서 건축물의 높이와 넓이가 다르며, 부속 규정들이 적용되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레벨조정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양 체제가 모두 격자패턴을 사용한 궁극적인 이유는 커뮤니티(생활권)를 나누기 쉽고, 각각의 공공시설간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으며, 획지가 균등하게 분배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용도를 조절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그림 15>.
  냉전이후, 생태경제학이 도입되고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자연의 경제적 이용 및 환경공생을 위한 지속가능(Sustainable)한 개발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과거의 도시들은 성장은 하되 자연과 격리되어 있었지만 앞으로의 도시는 자연의 순환법칙에 저촉되지 않는 순환형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으며, 즉, 오픈스페이스 및 보행공간 등의 인간적 요소와 자연지형의 복원 및 도시내 녹지시스템구축 등의 자연적 요소를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 이들의 초기 도시형태는 자연적인 이미지를 부각시킨 유기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었지만, 최근의 계획들을 보면 격자형 패턴에 의한 기능적이고 경제적인 면을 부각시키고 있다. 이는 도시하부구조(지하)와 상부구조(지상)를 연결하고, 자연으로부터 얻은 우수를 공급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시스템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격자형 구조를 가진 도시형태는 앞으로의 미래형 도시에도 지속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인간이 만든 최고의 발명품이라고 할 수 있다.

한양대 동아시아 건축역사 연구실(한동수, 김영재, 도윤수, 장재혁, 정수인, 황보영희, 신혜원, 최지영, 박진홍)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