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변의 카프카 (상)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김춘미 옮김 / 문학사상사 / 200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개인적으로 하루키의 최근 작품보다는 초기 작품들을 좋아한다. (양3부작, 하드보일드 원더랜드) 이 작품은 태엽감는 새 이후로 7년만에 나온 장편이지만 예전이 더 좋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혹자는 완성이니 결집이니 하는 말을 하지만 예술은 결말이나 완성을 가진 것이 아니다. 초기작품보다 후기 작품이 나으란 법은 없으며 작가가 나이를 먹어감에따라 작품의 완성도가 올라가는 것도 아니다.
재미면으로서는 여타 하루키의 다른 소설에 뒤쳐지지않는다. 소년이 주인공인 만큼 이야기도 밀도있게 진행되고 두개의 플롯이 교차되는 구성도 작품의 재미를 더해준다.(하드보일드 원더랜드도 이런 구성을 취한다.) 하지만 작품이 전하려하는 메시지는 불명확하며 너무 진지한 나머지 과거의 작품들이 가졌던 조용히 위로받는 듯한 분위기도 느낄 수 없다. 그리고 과거 어느작품보다 환상이 많이 개입되어 이야기가 산만하다. 표지엔 삶의 의미와 가치를 명쾌하게 그려냈다고 씌여있지만(우리나라는 어째서인지 책표지의 절반이 광고다) 도무지 명쾌하지가 않다.
이 작품은 많은 점에서 <하드보일드 원더 랜드>와 대비된다. 주인공의 또 다른 자아로서의 그림자와 까마귀 소년, 두개의 플롯이 교차하는 구성, 작품 내에서 도서관이 갖는 중요성, 남을 것인가 되돌아갈 것인가의 갈등... 작가가 이 작품을 <하드보일드...>의 변주나 후주로서 그리고자 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어느 쪽이든 <하드보일드...>를 뛰어넘는다고 보기는 힘들것 같다.
하루키의 최근의 '무라카미 류'식의 시도를 보면 개인적으로 안타깝다. 계속 조용히 상실만을 그려온 작가에게 죽음에 즈음해서(살아온 날보다 살아갈 날이 짧은 건 확실하니까) 마침표를 찍고싶은 심정은 이해가 가지만 억지로 찍으려는 마침표는 어색하다. 하루키는 소설이란 쓸 수 밖에 없으니까 쓴다 라고 말했다. 그것은 누구를 어딘가로 보내기 위해서도 아니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아니고 해답을 찾기 위해서도 아니다. 마치 조용히, 마음에 있는 컵이 차올라 넘치면 그것이 글이 되는 것처럼. 과거의 하루키의 소설은 그랬다. 그래서 하루키의 작품을 읽고있으면 어디로도 가지 않는다. 조용하지만 확실하게 위로받는다.
그러나 요즘의 작품은 웬지 어색하다. 위로를 넘어서 답을 내려는 시도가 그렇게 만든다. 하지만 이 세상에서 죽음과 더불어 확실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의미없음 일 것이다. 의미없음은 모든 존재에게 있어서 사형선고이다. 그것과 맞서 싸울순 있어도 이길 순 없다. 죽음과 다른 것이 있다면 죽음은 삶을 끝내지만 의미없음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나의 존재가 의미를 잃음으로써 나의 존재는 죽지만 난 여전히 존재한다. 죽음이 나를 해방시켜 줄 때까지 의미없음과의 싸움은 계속된다. 결코 이길 수 없는 싸움이지만 의미없음을 인식하는 순간부터 살아가는 순간 순간은 그것과의 조용한 싸움이다.
자신의 글로 남을 구원하겠다는 과대망상증 작가가 아니라면 조용한 위로는 소설이 줄 수 있는 최선 중의 하나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