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소드 : 20세기를 지배한 연기 테크닉 - 20세기를 지배한 연기 테크닉
아이작 버틀러 지음, 윤철희 옮김, 전종혁 감수 / 에포크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타니 슬랍스키는 경력을 쌓아가는 동안 디드로가 제시한 연기의 위계를 완전히 뒤집었다. 그는 상징적 스타일을 문자 그대로 교과서에서나 배울 수 있는 일련의 클리셰들로 구성된 "판에 박힌 작업"이라고 일축하며, 위대한 감성을 가진 이들이야말로 최고의 배우라고 주장했다. 스타니슬랍스키에게 재능은 배우로서 경험을 받아들이는 능력이었다. 그러나 때로 스타니슬랍스키의 재능은 그를 저버렸다. 그느 폴루스 이래로 모든 이들이 맞닥뜨린 것과 같은 똑같은 문제가 직면했다. 시도 때도 없이 경험을 불러낼 방법은 존재하지 않았다. 영감을 훌륭한 연기를 펼칠 수 있게 하는 비법이지만, 영감처럼 변덕스럽고 형언할 수 없는 것을 어떻게 통제할 것인가?

이 책의 말미에 실은 참고문헌이 명확하게 보여주듯, 이런 훌륭한 책들이 없었다면 <메소드>는 세상에 나오지 못했을 것이다. 다만 그 책들은 메소드 이야기를 하지만 메소드가 주인공은 아니다. 메소드를 주인공으로 삼는다면, 특히 메소드가 살아온 놀랍고 변화무쌍하며 혼란스럽고 논쟁적인 생애를 보기 위해 보다 넓은 문화적 맥락에 메소드를 배치한다면, 어떤 모습이 드러날지 궁금했다. 메소드와 메소드의 시대를 보는 새로운 방법은 무엇일까.

메소드는 단순히 연기론이나 감독이 큐 사인이 떨어지마자 울먹이게 만드는 든든한 방법이 아니다. 변화를 불러오고 혁명을 일으킨 현대적인 예술운동이자, 20세기의 위대한 생각이다. 무조음악, 모더니즘 건축, 추상미술처럼 ‘시스템‘과 메소드는 세상과 나 자신을 바라보는 방식을 바꿔버릴 인간 경험을 상상하는 새로운 방법을 내놓았다. 오늘날 우리는 메소드의 안내를 받아 등장한, 미학적 취향을 지닌 세상에서 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