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체에 자연스럽고 힘찬 기운이 있고 목표가 분명하게 정해져 있으면 교육 시스템에 다소 문제가 있다고 해도 어떻게든 ‘대세의 흐름‘을 타고 그럭저럭 뛰어넘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회의 힘찬 기운이 상실되고 폐색감 같은 것이 곳곳에서 발생하기 시작했을 때, 그것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가장 강한 영향을 받는 곳은 교육의 장입니다. 학교이며 교실입니다. 왜냐하면 어린아이들은 갱도의 카나리아처럼 그런 탁한 공기를 가장 먼저, 가장 민감하게 감지하는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 P222

내가 좋아하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시인 폴 발레리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을 인터뷰했을 때, 그는 "착상을 기록하는 노트를 들고 다니십니까?"라고 질문했습니다. 아인슈타인은 온화하지만 진심으로 깜짝 놀란 표정을 보였습니다. 그러고는 "아, 그럴 필요가 없어요. 착상이 떠오르는 일이 거의 없으니까"라고 대답했습니다. - P124

거기서(첫 소설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 내가 유념했던 점은 우선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그것보다는 다양한 단편적인 에피소드나 이미지나 광경이나 언어를 소설이라는 용기 안에 척척 집어넣고 그걸 입체적으로 조합해나간다, 그리고 그 조합은 통념적인 논리가 문학적인 언어와는 무관한 장소에서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 된다. 그것이 기본적인 작전이었습니다.

그런 작업을 추진하는 데는 무엇보다 음악이 큰 도움이 됐습니다. 마치 음악을 연주하는 듯한 요령으로 문장을 만들어갔습니다. 주로 재즈가 도움이 됐습니다. 잘 아시다시피 재즈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리듬입니다. 적확하고 견고한 리듬을 시종 유지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그러지 않으면 청중은 따라와주지 않아요. 그 다음은 코드(화음)입니다. 하모니라고 말을 바꿔도 좋을지 모르겠군요.

(중략) 그런 사실은 우리에게 한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줍니다. 한정된 소재로 스토리를 만들어낼 수밖에 없더라도 기거에는 무한한-혹은 무한에 가까운-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건반이 여든여덟 개밖에 없어서 피아노로는 더 이상 새로운 건 나올 수 없다‘는 말은 할 수 없겠죠. - P1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