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각과 자유 - 장자 읽기의 즐거움
강신주 지음 / 갈라파고스 / 2014년 4월
평점 :
품절


장자를 소재로 하여 망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것들 그중에서도 타인과의 관계에서 얻을 수 있는 것들에 대한 내용을 설명한 책이다.


인터파크의 강신주 책 럭키백 이벤트로 최소할인이 35%이상이라는 마케팅 워드에 넘어가 구매하게 된 책.


늘 책은 그 가격보다 더 높은 값어치의 내용을 담는 것이 일반적이기에 위 마케팅 워드에 넘어가면서 강신주 책을 3권이나 일시구매하게 되었다. (꽤나 성공적인 이벤트였을텐데.. 인세 좀 버시겠군..)


아무튼... 이 책은..


장자의 이야기이지만 장자가 이렇고 저렇고를 논하는 것이 아니고 장자가 이야기 한 망각이 우리에게 어떤 부분에서 필요한지를 서술한 책이다.


내가 제대로 이해한 것이라면.. 이책의 내용 자체는 우주의 법칙에서 늘 확인되듯이 새로운 것은 없고, 


1. 우리가 어릴 때부터 듣던 선입견없이 있는 그대로의 타인을 봐야 제대로 된 소통을 할 수 있다.  

2. 다른 사람이 원하는 것을 해줘야지 본인이 기대하는 바를 얻기 위해서 강요해서는 안된다는 것.

3. 그렇에도 불구하고 타인이 가진 자의성 때문에 실망할 수 있으니 주의하라는 것.

4. 꼭 타인이 아니라 음악이나 업무같은 추상적인 것을 대할 때도 자신의 편견/직찹을 버리고 대해야 성취를 이룬다는 것.


등의 내용을 전달하고 있는데..  음.. 제대로 이해한 것인지 다시한번 봐야겠다.


-------


 

장자의 철학은 제물론 편에 등장하는 한마디로 규정할 있다

길은 걸어 다녀서 이루어진다

길이 먼저 있었던 것이 아니라 걸음이라는 행동이 먼저 있었다는 것이다

 

마음이 조화롭고 즐겁도록 하고 타자와 연결하여 즐거움을 잃지 않도록 해야한다. 밤낮으로 틈이 없도록 하여 타자와 더불어 봄이 되도록 해야한다. 이런 사람이 바로 타자와 마주쳐서 마음에 봄이라는 때를 생성시킬 있는 자다

 

장자가 말하는 망각이란 제한적인 것이다. 그에게 망각은 따사로운 기쁨을 얻기 위한 수단에 지나지 않는다.

 

장자에게 비움이나 망각은 타자에게 건너가기 위한 가벼운과 경쾌함을 제공할 있을 뿐이다.

장자의 지적처럼 타자에 대한 선입견을 비워야만 우리는 그나마 타자와 연결될 있는 희망을 품을 있기 때문이다. 당연히 희망은 타자에 의해 언제라도 좌절될 있는 성격의 것이다. (타자는 자신만의 자유 타자성을 가진 존재이니까..)

 

놀이란 망각이 지배하는 목적론적 활동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