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회화 아트 라이브러리 13
재니스 톰린슨 지음, 이순령 옮김 / 예경 / 200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제는 "Spanish Painting"이 아닌 "Painting in Spain" 이다.
딱히 "스페인"의 회화라고 뚜렷이 규정지을 수 없을 만큼 스페인 제국 시대의 회화의 성격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스페인 회화는 여느 유럽 회화와는 약간은 다른 색채를 띄고 있다. 다른 유럽 회화들이 가톨릭의 영향에서 벗어나 인간에 대해 탐구하고 있을 때 스페인에서는 종교적 열정이 표현된 회화가 계속되었고, 왕실 회화에서는 스페인만의 뚜렷한 특징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은 스페인의 특수한 정치 상황에 기인한다.

이베리아 반도는 최초의 무어인이 침공한 이후 800년 가까이 이슬람의 지배를 받았다. 때문에 카스티야의 이사벨과 아라곤의 페르난도가 결혼하면서 스페인 제국이 탄생하였고 이들에 의해 레콩끼스따(국토회복운동)가 완성되기까지 명목상 종교를 내세운 전쟁이 계속되었다. 이러한 배경은 가톨릭의 영향력을 높여주면서 신비하고 종교적 열정으로 가득찬 종교 회화로 나타나게 된다.

왕실 미술의 경우 크게 두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는 가톨릭 양왕의 딸인 후아나가 합스부르크 왕가의 필리프와 결혼하면서 시작된 독일의 영향이다. 이 시기의 왕실 초상화를 보면 딱딱하고, 엄숙한 분위기가 느껴진다. 루이 14세의 손자 펠리페5세가 즉위하여 부르봉 왕가가 시작되면서는 프랑스의 영향으로 화려하고 발랄한 분위기로 변화한다.

저자는 리베라, 무리요, 엘그레코, 벨라스케즈, 고야 등 유명한 화가들과 함께 스페인 회화들을 소개하면서 이러한 정치적 상황의 영향을 설명한다. 번역은 매끄러운 편이고, 아름다운 스페인의 회화들의 도판도 만족스러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