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축, 음악처럼 듣고 미술처럼 보다
서현 지음 / 효형출판 / 200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일반인을 위한 건축 서적들은 주로 유명한 외국 건축물들을 소개하는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는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한국의 근현대 건축들을 토대로 건축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단지 유명한 건물을 소개하는데 그치는 게 아니라 건축이 어떻게 탄생하며, 거기에 담긴 건축가의 의도가 무엇인지를 음악처럼 듣고 미술처럼 보라고 충고한다.
건축가가 도면에 신중하게 점 하나를 찍는 순간부터 건축은 탄생한다. 저자는 점에서 시작된 건축이 선, 면, 비례, 상자, 공간으로 확장해가면서 제 모습을 드러내는 과정을 차근 차근 설명한다. 우리가 매일 접하는 모든 공간의 사소한 부분까지도 다른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는 것이다. 문이나 창문의 위치에서부터 전기스위치와 콘센트에 이르기까지, 그저 아무렇게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작은 부분들까지도 서로 조화되도록 계획되었다는 사실을 이 책을 읽고나서야 깨달았다. 이전에는 전혀 눈치채지 못했던 나 자신의 둔중함이 놀라울 따름이다.
건축은 당시의 시대정신과 상황을 반영한다.
그러므로 건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재료가 무엇인지, 건축가가 누구인지를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건축 당시 건축가에게 영향을 미쳤을 시대상황을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래서 그리스인의 정신을 잘 드러낸 그리스 신전의 모습은 아름답지만 20세기에 아무런 연고도 없이 나타나는 그리스 신전 양식의 건물들은 어색하기만 할 뿐이다.
책을 통해 서양 건축만큼 화려하지는 않지만 질곡 많은 우리 역사와 함께해 온 건축물들을 알게 되어 좋았다. 관료조직의 요구에 굴하지 않고 건축가의 의도를 그대로 반영한 국립현대미술관, 세속과 거리를 두기 위해 돌아감의 미덕을 보이는 경동교회, 문화의 거리 대학로를 가장 잘 표현하는 샘터사옥 등 아름다운 건축물도 많지만 건축주의 횡포에 주저앉을 수 밖에 없었던 예술의 전당과 독립기념관 같은 건축물들에는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우리 주위를 둘러보자. 아직까지도 천민자본주의에 휘둘리며 사람은 담아내지 못하고 물질로만 이루어진 건물들이 얼마나 많은지, 싸구려 조명을 내뿜으며 조금이라도 더 튀어보려는 간판들로 답답하게 가려진 건물들이 얼마나 많은지를 깨달아야 한다.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살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 이렇게 답답하고 몰개성적인 건물들로만 채워진 곳에서 사는 건 이제 그만해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