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생각이 신장의 증가 추세가 진화와 관련된 것이라면, 먼저 키 작은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번식에 실패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입증해야 할 듯 합니다. 하지만 평균신장이 수 십년(이를테면 해방 이후 지금까지) 동안 급속히 성장했다면, 이는 불과 두서너 세대 정도 밖에 경과하지 못했으므로, 자연선택의 효과가 영향을 끼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님의 생각이 참신한 건 사실이지만, 제가 볼 때도 자연선택보다는 육식을 위주로 한 영양섭취와 관련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는 매주 월요일 밤 10에 EBS에서 방송하는 과학다큐를 즐겨 본다. 오늘의 주제는 만물의 이론의 유력한 후보인 초끈이론에 대해서였다. 누가 진행을 맡았는지 알면 여러분도 몹시 놀랄 것이다. 그는 바로 "엘러건트 유니버스"의 저자 "브라이언 그린"이었다.

물리학의 최고 경전이로 일컬어지는 바로 그 책의 저자 말이다. 엘러건트 유니버스를 읽을 때, 그린의 사진을 보고 X파일(물론 이 프로는 사이비과학의 범주에 속하지만)의 멀더를 닮았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그러나 오늘 영상으로 보니 그는 좀 늙었고, 부드럽기 보다 샤프한 이미지를 지니고 있었다. 그는 뛰어난 쇼맨십도 소유하고 있었다. 엘러건트 유니버스의 성공 이후 숱하게 방송계에 불려다닌다는 소문이 나돌던데, 자니 카슨쇼에 30회 이상 출연했던 칼 세이건처럼 그도 충분한 잠재력을 소유한 듯 하다. 과학의 전도사로서의 기질 말이다.

칼 세이건과 리처드 파인만 그리고 스티븐 제이 굴드가 세상을 뜬 후, 진정한 과학의 전도사라 평가할 만한 이는 리처드 도킨스 정도가 남지 않았나 싶다. 도킨스야말로 냉철한 지성의 상징이자, 문자의 탄생이래 가장 논리적으로 글을 썼던 사람이 아니던가!(내 개인적 평가지만)

만약 브라이언 그린마저 그들의 대열에 가세한다면 과학의 대중화를 향한 21세기의 전망도 그리 어둡지 않으리라 생각해 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노을빛 2004-07-19 12: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프리퀀시>라는 영화 보면, 브라이언 그린이 잠시 출연하죠. 주인공이 틀어놓은 TV에서 우주에 대한 대담 프로에 나와서 뭐라고 떠드는 장면이 잠시 지나갑니다. 브라이언 그린이 나온 초끈 이론 해설 프로그램이라.. 저도 EBS 열심히 봐야겠네요

가을 2004-07-19 20: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프리퀀시"라는 영화 꼭 봐야 겠네요. xps님 서재에 들어가서 마이리스트를 훑어 보았는데, 과학을 전공하시거나 과학에 흥미있는 분이란 느낌을 받았습니다. 전 역사를 전공하는 대학원생인데 과학을 너무 좋아합니다. 제 우상 세명 중 두명(리처드 도킨스, 칼 세이건)이 과학자거든요. 아무튼 같은 취미를 가진 분을 만나게 되어 너무도 반갑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