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스모스 ㅣ 사이언스 클래식 4
칼 세이건 지음, 홍승수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4년 12월
평점 :
우주는 우리 인간에게 무엇일까? 이 주제만큼 인간에게 오랫동안 골머리를 썩여온 의문도 없었을 것이다. 이 사실을 반영하기라도 하듯, 우주를 바라보는 관점은 시대에 따라, 계층에 따라 그리고 사람들의 취향에 따라 차이를 보여왔다. 현대의 점성술사들은 물론이고 고대인들은 별들의 운행과 별똥별 그리고 혜성을 관찰한 후 길흉화복을 점쳤다. 일반인들의 경우, 우주를 꽤 낭만적으로 바라보기도 했다. 알퐁스 도데는 ‘별’이란 작품을 통해 별자리에 얽힌 신화를 아름답게 그려냈고, 과거 우리 선조들도 달을 바라보며 절구를 찧는 토끼를 연상했다.
그러나 현대과학은 우주를 바라보는 시각을 근본적으로 바꾸었다. 첨단망원경을 비롯한 우수한 장비, 화학적 분석법의 발달, 컴퓨터 시뮬레이션, 일반상대성이론, 우주항공술의 발달 등으로, 우주에 얽힌 미스테리는 점점 신비의 영역에서 이탈하고 있다. 적어도 현대인들은 우주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자 하며, 우주자연의 현상을 현대물리학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과거인들이 우주에 대해 품었던 꿈과 낭만을 포기해야 할까?
전혀 그렇지 않다.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를 보라! 우주는 암흑의 공간 속 군데군데에, 타오르는 불덩이(별)들이 아주 이따금씩 박혀 있는 불모의 공간이 결코 아니다. 그곳에는 지구의 모래알보다 더 많은 무수한 별들의 삶과 죽음이 드라마틱하게 펼쳐지는 매우 역동적이고 항상 변화하는 너무도 아름다운 인류의 고향이다!
칼 세이건이야말로 우주를 바라보는 현대물리학의 냉철한 관점에, 아름다운 낭만과 따사로운 휴머니즘을 불어넣었다. 뿐만 아니라 그는 우주가 낯선 미지의 세계가 아닌, 우리의 고향임을 깨닫게 해주었다. 1996년 칼 세이건은 자신이 그토록 동경한 우주로 영원한 여행길에 올랐다. 그를 존경했던 후배 과학자들이 훗날 그의 업적을 기려, 화성탐사선 패스파인더호가 안착한 곳에 ‘칼 세이건 기념 기지’라는 이름을 붙였다. 칼 세이건이 떠났다고, 우주에 꿈과 낭만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그의 불멸의 역작, ‘코스모스’가 영원히 우리와 함께할 것이기 때문이다!
‘코스모스’는 아름답고도 광할한 우주 여행기이자, 인간내면에 대한 성찰이기도 하다. 칼 세이건은 태양계의 다양한 행성으로 여정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그 행성에 얽힌 비밀을 이해하고자 했던 과학자들을 소개한다. 우주를 이해하려 노력하는 인간들의 열정, 그들이 바라본 우주, 그리고 그들이 우주에 대해 알게 된 것들의 자취는 오늘날의 우주개척시대를 초래한 과학발달사일 뿐만 아니라, 우주에 대한 지적 호기심을 주체할 길 없는 인간의 본성이기도 하다.
과학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며 ‘플레이보이’에도 원고를 기고했을 만큼 헌신적인 그였지만, 그에 대한 이상한 오해가 따라붙곤 한다. 요는 ‘세이건이 외계인은 존재한다고 했다’는 내용이다. 장담컨대 세이건은 ‘코스모스’를 비롯한 어느 저서에서도 결코 그런 말을 한 적이 없다. 그는 단지 외계인이 없다면, ‘우주는 지나친 공간 낭비일 뿐’이라고 자신의 바램과 가능성을 표현했을 뿐이다. UFO나 X-file류의 공상적 기담이 과학의 입지를 좀먹는 상황에서, 세이건은 과학을 수호하는 대표적 지성으로서 죽는 순간까지 맹렬히 투쟁했다.
그는 현대과학을 ‘수학’과 ‘물리학’적 메스로 재단해 단조롭고 무미건조하게 만드는 기존 학자들과 달리, 방대한 인문학적 지식을 접목해 유려하고 아름답게 그려냄으로써, 현대과학도 얼마든 흥행에 성공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달리 말해 그는 참된 과학의 세계가 사이비과학보다 훨씬 흥미진진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코스모스’야말로 참과학의 결정체이다. 그것은 위대한 우주 대서사시이자 인류가 축적해온 방대한 우주지식일 뿐만 아니라, 우주가 어떤 지점에서 인간의 본성과 연결될 수 있는지를 아름답게 그려내고 있다. 한 마디로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과학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