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트 리들리의 붉은 여왕
매트 리들리 지음, 김윤택 옮김 / 김영사 / 200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과학 저널리스트들은 지식사회로부터 곱지 않은 시선을 받기 일쑤다. 정작 자신이 해놓은 것 하나 없이, 남들의 성과를 재단하는데 도가 튼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곱지 않은 시선이야 말로 사회적 편견이 아닐까 한다. 물론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자신의 전공분야에만 익숙한 과학자들과 달리, 전분야를 꿰뚫고 있는 저널리스트들에게 저술가로서의 역할을 인정하는 것도 의의가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더구나 대다수 노벨상 수상자들의 글솜씨가 별 볼일 없음을 감안할 때, 이들도 지식사회의 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저널리스트들 중엔 날카로운 시각과 통찰을 겸비한 이들이 적지 않다. '핀치의 부리'로 퓰리처상을 수상한 '조너던 와이너', '카오스'의 개념을 대중사회에 명쾌히 소개한 '제임스 글릭', '경도'와 '갈릴레오의 딸'로 세계적 명성을 떨친 '데이바 소벨', '과학의 종말'로 지식사회에 충격을 준 '존호건'........ 그러나 누구보다 탁월한 저널리스트를 꼽으라면, 그는 단연코 '매트 리들리'여야 한다. 그는 '게놈'에서 인간의 유전자에 얽힌 비밀을 심도있게 파헤쳤고, '이타적 유전자'를 통해 협동을 포함한 인간적 덕성의 진화를 아름답게 보여주었다.

리들리의 야심은 대단하다. 그의 책들은 생물의 평범한 진화에 그치지 않고, 인간본성의 진화과정를 걸고 넘어가려 한다. '인간본성에 대하여'를 써서 지식사회에 충격을 주고 처절한 비판까지 감내해야 했던 '에드워드 윌슨'에 비해, 리들리의 처지는 나은 편이다. 뒷시기에 태어난 리들리야말로 풍부히 축적된 진화생물학계의 수혜자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만이 리들리의 전부는 아니다. 그는 박학다식하며 날카로운 통찰력의 소유자이기 때문이다!

'게놈'과 '이타적 유전자'가 한국에서 대히트한 후 '붉은 여왕'이 출시되었지만, 사실 '붉은 여왕'은 리들리의 초기 작품에 속한다. 이 책 '붉은 여왕'은 앞선 두 작품보다 훨씬 흥미로운 주제인 성을 다루고 있다. 리들리는 스토리를 풀어나가기 위한 연결고리로서 성을 설정한다. 그것은 성의 발생과 양성의 대세화로부터 시작해, 성이 인간의 진화에 미친 영향을 탐색하고 놀랍게도 인간뇌의 급속한 성장이 성선택의 압력에서 비롯되었다는 가설에까지 다다른다.

사실 리들리에게 번식을 위한 성선택은 생존을 위한 자연선택 못지않게 진화에서 중대한 요소이다. 특히 인간의 독특한 문화는 성선택의 산물이라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자는 자신의 복제품을 만들고 양육하는데 순진한 남편을 이용하지만(일부 일처제 선호), 남자는 유전자를 제공하는 바람둥이에 불과할 뿐이다(일부 다처제 선호). 더우기 순진한 남자들은 자신의 유전자가 섞이지 않은 바람둥이 아내의 자식을 양육하는 일에 헌신적이다! 인간진화의 놀랍고도 타산적이며 비참한 면을 들춰낸 리들리의 주장에는 놀랍게도 논리적 헛점이 보이지 않는다.

진화의 엄연한 진리는 인간이 몹시 희극적인 존재이며, 다른 동물과 별반 다를 바 없는 보잘 것 없는 존재임을 일깨워 준다. '스티븐 제이 굴드'가 '풀하우스'에서 강조했듯 인간은 진보적 진화를 거쳐온 것이 아니라, 다양성에 의해 파생된 '오른쪽 꼬리'에 안착했을 뿐이다. 그것은 전적으로 행운이었다! 치열한 경쟁의 세계에서 '붉은 여왕'의 논리는 상대적 위치의 불변에 초점을 맞추지만, 절대적 위치나 전체적 수준은 분명 정교하고 세련된 수준에 이르기 마련이다. 그것은 과거보다 월등히 성장한 현재 메이저리그의 수준급 3할 타자가 과거에 활약했더라면 4할을 쳤을 수도 있다고 말한 굴드의 주장과 같은 맥락에 있다.

자연의 모든 생명에 대한 인간의 지위는 상대적인 변화를 겪지 않았지만, 다른 생명체가 정교해졌듯 인간도 세련된 진화의 과정을 밟아 왔다. 그것은 성의 발생, 양성의 등장, 성선택의 압력 의한 인간지능의 성장, 독특한 심리상태의 형성 등을 초래한 성의 메커니즘 덕분이었다. '붉은 여왕'이야말로 성을 도구로 인간을 인간답게 창조한 조물주였던 셈이다. 그때문에 성에 대한 인간의 관심이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병적인 수준까지 치닫지 않았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