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식민지 근대화론 비판 - 우리시대의 지성 5-010 (구) 문지 스펙트럼 10
신용하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8년 10월
평점 :
절판


식민지 근대화론이란 일제 강점기를 경과하면서 한국의 근대화가 달성되었다는 발상이다. 과연 이러한 이론을 주장하는 학자들이 근대화의 개념을 어디에 초점을 두고 있는지는 의심스럽지만, 산업화가 그 기본요소 중 하나라는 것만은 확실한듯 하다. 식민지근대화론을 주장한 대표적 외국학자로 카터 에커트를 들 수 있다. 그는 김성수 일가의 자본축적 과정을 다룬 '제국의 후예'라는 저작을 내었는데, 한국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아마 우리나라에서는 서울대학교의 안병직 교수가 최초로 식민지 근대화론을 옹호한 것으로 보인다. 일제 식민지시기의 침략적 수탈에 의한 악감정 및 여러 문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안병직 교수의 논리는 많은 저항에 직면한 것이 사실이다. 물론 신용하 교수의 이 책도 그러한 논리의 비판을 위해 저술된 책이다. 그러나 애석하게도 식민지 근대화론을 비판했던 다 수의 논문들은 논리적이라기보다 감정적 비판에 치우친 면이 많이 있었고, 이 책 또한 그러한 경향이 있다. 식민지 근대화론의 발상의 폐해는 무엇보다 일제시기의 경험에 의해 자본축적과 공업화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는 결과론적 측면에 토대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취약해 보인다. 과연 현대의 재벌구조라든지 정경유착 등 현대 경제문제의 상당 수 모순이 식민지 근대화와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에 대해서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할 듯 하다. 물론 그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먼저 근대화에 대한 개념규정이 엄밀히 이루어져야 할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