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즈와 구더기 - 16세기 한 방앗간 주인의 우주관 현대의 지성 111
카를로 진즈부르그 지음, 김정하.유제분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의 역사학은 주로 상층수준의 정치사를 위주로 다루어져 왔다. 역사를 이끌어나가는 주체의 문제에서 이러한 역사서술은 영웅주의적 역사관을 설명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그러나 더 근본적인 의미에서 역사의 주체가 다소 추상적인 하층계급의 민중이라면 위의 관점은 불만족스러운 것이기에 충분하다. 또한 바로 이러한 이유로 아래로부터의 역사가 긴요하게 되었으며, 현재의 역사서술 추세도 이 방식으로 전개되는 실정이다. 서구에서 오래전부터 시도된 '미시사'는 그러한 경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상층계급 중심의 정치사에서 탈피해 일반대중에 초점을 맞춤으로서 사회의 구조적인 원리에 접근하고자 한 서구의 미시사는 거시구조에 대한 추적방식을 지양하는 경향이 있다. 잘 알려지지 않은 사소하고 미세한 부분에 집요하게 매달려 마치 '실타래를 풀어나가듯' 문제의 해결에 접근한다. 그것은 마치 셜록홈즈가 우연히 발견한 종이조각을 통해 범행의 실체에 접근하는 방식이며, 모렐리가 작품의 사소한 부분 - 가령 예를 들어 인체의 손톱이나 발톱 혹은 귓볼 - 을 통해 작품의 진위를 추적하는 방식이다. 처음엔 몹시 엉켜있는 실타래지만, 작은 한 가닥을 끄집어내 집요하게 풀어나가 전체를 정연하게 풀어내는 것과도 같다.

이러한 방식이 바로 이 책의 저자 '카를로 진즈부르그'의 역사적 방법론이다. 진즈부르그는 서양중세의 구조적 원리를 파악하기 위해 아주 사소하고 미세한 부분으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그가 집요하게 매달리는 대상은 중세의 농부이자 방앗간 주인인 메노키오이다. 메노키오의 재판기록이 아직까지도 보관되어 있었기에 진즈부르그는 그를 인용할 수 있었다.

저자가 메노키오에 대해 주목한 것은 그의 언술과 독서 경험 그리고 그가 소장하거나 읽었다고 판단되는 도서목록이다. 저자는 이러한 단서로부터 메노키오의 독서방식을 추적하고, 그의 독특한 사상체계가 바로 중세 농촌사회의 오랜 전통인 구전문화로부터 비롯되었다고 진단한다. 물론 인쇄술의 발전에 의해 축적된 기록문화 - 직접적으로 그가 읽은 책들 - 역시 그의 사상체계의 재구성에 일정부분 영향을 끼쳤음은 말할 나위 없다.

방앗간 주인을 통한 미시적 접근으로부터 구전문화에 기초한 진보적, 현실적, 반신학적, 반기득권적 농민문화의 오랜 전통 즉 중세 농촌의 거시적 구조체가 드러나고 있다. 사소한 시작이 중대한 결과를 초래하듯 - 마치 양쯔강에서 펄럭인 나방의 날개짓이 지구 반대편에서 태풍을 초래하듯 - 중대한 역사적 사실이 밝혀진다. 마치 길거리에서 종이조각을 발견한 홈즈가 그것을 단서로 범인을 알아내고 범행의 실체를 완전히 재현해내듯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