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중앙아시아 중국영토내 돈황의 막고굴에서 엄청난 양의 유적이 쏟아져 나왔다. 돈황학이 탄생하는 순간이었고, 실크로드란 신조어가 빛을 볼 것이었다. 한낱 유목민의 역사로서 치부돼 왔던 중앙아시아의 역사는 동서문명의 교류의 장으로서 새로이 조명될 것이었다. 동서교류의 경로로서 중앙아시아를 가로지르는 실크로드는 더이상 변방의 역사가 아닌 세계사의 새 주류로서 부활하기 시작했다.실크로드를 연구하기 위해 유럽의 학자들이 대거 몰려들었고, 일본의 학자들도 이에 가세했으며 심지어는 일확천금을 꿈꾸는 도굴꾼들까지도 호시탐탐 기웃거렸다. 20세기 초부터 조명을 받기 시작한 실크로드의 역사학은 곧 찬란한 번영기를 맞았으며, 수많은 연구성과가 쏟아져 나왔다. 한국에 소개된 서구학자들의 저작만해도 '로마에서 중국까지' '실크로드 이야기' '실크로드의 악마들' 등 흥미로운 저작들이 출간되었고, 이웃 일본학자들이 쓴 '실크로드의 역사와 문화' '돈황 석굴' 등 상당한 연구가 축적되었다. 그러나 불운하게도 실크로드에 대한 한국학자들의 관심과 주목은 매우 뒤떨어진 감이 있었다. 이렇다할 연구도 없었거니와 서역을 연구한다는 대학의 학부나 대학원 혹은 관련 연구소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역시 학문에 관해서는 여느 분야와 마찬가지로 우리는 후진국의 위치에 있으며, 이웃 일본과는 상대조차 되지 못한다는 망연자실을 느낀 적이 있었다.이러한 감정이 잊혀질 무렵 언젠가 서점에 들른 일이 있었다. 그때 우연히도 실크로드를 다룬 매우 커다란 책을 발견하게 되었고, 그것이 한국인 학자에 의해 쓰여졌다는 사실에 적지않은 흥분을 느꼈다. 과연 이 책의 저자가 누구일까? 저자를 확인하고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얼마 전까지 간첩 깐수로 뇌리에 남아있던 정수일 교수가 한국의 대표적 서역학자였다는 사실에 의해서였다. 그러나 더욱 날 놀라게 했던 것은 치밀하고 탁월한 그의 연구에 의해서였다. 여럿의 실크로드 관련 책들을 보아왔지만, 이 책처럼 안목이 높은 연구는 극히 드물 것으로 생각되었다. 기존의 실크로드연구는 유럽중심적인 역사서술 - 대표적으로 실크로드의 범위를 로마로부터 중국의 장안까지 바라보는 편협성 - 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 책은 그 범위를 더욱 확장시켜 실크로드를 통한 한반도의 문명교류에도 주목하고 있다. 달리말해 실크로드의 범주에 한반도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실제로도 혜초가 서역을 여행하고 '왕오천축국전'을 남겼으며, 일본인 고승인 엔닌 역시 불법을 구하기 위해 서역을 여행하고 '입당구법순례행기'를 남겼다. 뿐만아니라 한국의 위대한 문화유산 석굴암은 서역을 통해 간다라양식이 유입되었기에 건축될 수 있었다. 실크로드학은 우리나라에서 이제 걸음마 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그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중국에 가까이 있는 지리적 특성상 한국의 실크로드학에 대한 전망은 매우 밝은 편이다. 이웃 일본학자들과도 연구성과가 긴밀히 교류된다면 그 효과는 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